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서비스는 국내에서 개발 등으로 복개되거나 사라진 복개하천, 사라진 하천, 호수, 못, 습지, 늪, 갯벌, 샘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알기 쉽게 지도로 표시하고, 그 물길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기록하여 제공하는 국내 최초의 서비스입니다. 이렇게 개발 등으로 사라진 물흐름을 발굴하여 복원으로 이어지도록 하려고 정성껏 개발한 서비스에 우리 모두 고마움을 느끼기 바랍니다. ○ 현재 서울과 5대 광역시 지역의 물길이 기록되어 있으며, 수도권, 세종지역과 시 지역의 물길은 2022년 8월까지 기록할 예정입니다. ● 또한. 그동안 미처 기록하지 못하였던 물길들도 발굴되면 즉시 기록할 것이므로 지금까지 서비스에 기록을 마친 물길이 어디까지인지 알고 싶다면 수시로 F5 버튼을 눌러 페이지를 새로고침 해 주시기 바랍니다. |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 등의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가 지금 개최됩니다. 국내 최초로 사라진 물길을 기록한 지도인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에서 정식 서비스 시작을 기념하여 국내 최초로 사라진 물길을 기록하고, 이에 대한 각자의 참신한 복원 방안을 찾고자 국내 최초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경진대회인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이번에 개최하는 경진대회는 1탄: 사라진 물길 기록을 위한 공모전,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 3탄-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및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대회로 구분하여 개최돠며 경진대회 참여를 원하거나 경진대회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려고 한다면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에 접속해주시기 바랍니다. |
지도에 표시된 아이콘과 3가지 색깔별로 표시된 물줄기들은 각각의 기호별로 아래와 같은 물길의 종류를 나타냅니다. | |||||||||
![]() |
![]() |
![]() |
![]() |
![]() |
![]() |
![]() |
![]() |
![]() |
![]() |
발원지 | 합수점 | 분수(分水)점 | 복개 시작점 | 복개 종료점 | 자연 호수 | 인공 호수 | 형태 미상 호수 | 습지 | 샘 |
![]() |
![]() |
![]() |
![]() |
![]() |
기록이나 흔적이 명확한 물길 | 기록이나 흔적이 약간 불명확한 물길 | 기록이나 흔적이 매우 불명확한 물길 | 폐천(박스) 또는 예전에 흘렀던 적이 있었던 물길 | 과거에 복개되었다가 지금은 다시 복원되어 흐르는 물길 |
달서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달서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관련 언론기사를 통하여 공개된 달서천 발원지 중 하나로 이 곳에서 발원한 물줄기는 대구여상 ~ 삼각지네거리 ~ 물배기마을(대명2동행정복지센터 근처) 일부를 거쳐 남산동 2321 일대에서 삼봉산 좌측 하천 지류와 만나는 물줄기로 추정된다. (1) (2)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 영남일보-[기고] 달서천 복원 생태관광 허브로
(2)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 \'구지도 통판서비스\'의 삼각지네거리 일대의 1910 ~ 1930년대 지도를 보면 삼각지네거리 밑부분에 -52- 라고 표시된 커다란 호수인 새못이 보이며 이 호수가 달서천 영남대병원 뒷쪽 하천 지류의 일원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 호수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알고 있으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새못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은 새못 호수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새못(\'-52-\' 라고 표시된 호수)이 보이는 지도 이미지(출처: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 \'구지도 통판서비스\')
달서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달서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달서천 영선못 ~ 산대못쪽 지류의 발원지로써 이 곳에서 발원한 물줄기는 산대못 ~ 대구외인주택 ~ 영선못(영선시장) ~ 경북여상 근처 버스정류장(중앙대로에 위치) 일부를 거쳐 명덕119안전센터 앞(추정)에서 영남대병원 뒷쪽 하천 지류와 만나는 물줄기로 추정된다. (1) (2)
해당 발원지의 구체적인 위치는 그곳이 현재 미군부대(캠프워크)의 일부이기 때문에 자유로운 출입이 금지되어 사실상 이를 찾아내기 어렵다는 점이 있으며 한 블로거가 이 곳에서 발원할 것으로 예상한 지천을 답사한 기록을 남겨놓았다.(1) (2)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 이 곳에서 발원할 것으로 예상한 하천의 예상 경로가 글에 지도로 표시되었다.
관련 글 : tistory-잡동사니 내블로그 ver.2 :: 대구 달서천 답사기 5/9
(2) 관련 기록 : tistory-잡동사니 내블로그 ver.2 :: 대구 달서천 답사기 8/9, tistory-잡동사니 내블로그 ver.2 :: 대구 달서천 답사기 9/9
달서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달서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관련 언론기사(1)를 통하여 공개된 달서천 발원지 중 또 다른 발원지로 이 곳에서 발원한 물줄기는 빈민가들이 밀집한 골목길을 지나 명덕로42길 ~ 명덕네거리 오른쪽 ~ 명덕초등학교와 남삼동 오토바이골목을 거쳐 남산동 2321 일대에서 영대병원 뒷쪽 하천 지류와 만나는 물줄기로 추정된다.
발원지 주위인 월드메르디앙 아파트 동편 일대에는 산비탈·절벽·하식애가 자주 나타나며 삼봉 중 대봉에는 대봉배수지도 만들었다고 전해졌다. [관련 언론기사] (2)
또한. 삼봉산 우측의 물줄기는 건들바위 옆에서 대구천의 물줄기와 만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자세한 경로는 확인하기가 어렵다. (자세한 사항은 대구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 수 있습니다.)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2) 영남일보-[기고] 달서천 복원 생태관광 허브로
달서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달서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관련 언론기사(1)를 통하여 공개된 2개의 다른 발원지와는 다르게 개발자가 직접 예전 기억과 과거 지도를 보고 기억을 되짚어보면서 찾아낸 발원지 중 하나이다. 아마도 파도고개 일대가 주거지로 개발되고 1980 ~ 1995년까지 이루어진 83타워(당시 대구타워)와 이월드(당시 우방타워랜드)의 조성으로 물줄기가 사라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곳에서 발원한 물줄기는 구남보건고 ~ 내당네거리 ~ 큰장길(서문시장 서편) ~ 큰장네거리를 거쳐 달성공원 동쪽(달성동 204-6) 일대에서 달서천 본류와 만나는 물줄기로 추정된다.
발원지에서 구남보건고 방향의 물줄기는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 \'구지도 통판서비스\'의 1960년대 지도에서 저수지가 있는 \'땅골\' 계곡 지류로 추정된다. (2) (다만. 1910 ~ 1930년대의 지도에는 이러한 저수지는 나오지 않는다. (3))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
(1) 영남일보-[기고] 달서천 복원 생태관광 허브로
(2)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 \'구지도 통판서비스\'의 이월드 뒤쪽과 반고개 일대의 1960년대 지도를 보면 옆에 \'땅골\' 이라고 표시된 작은 저수지가 있는 계곡이 보이며 저수지는 자연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인공적으로 축조한 것으로 보인다.
저수지가 있는 \'땅골\' 계곡이 나오는 이월드 뒤쪽과 반고개 일대의 1960년대 지도 이미지 (출처: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 \'구지도 통판서비스\')
(3) \'(2)\' 에서 설명한 땅골에 위치한 작은 저수지는 이 일대의 1910 ~ 1930년대의 지도에서는 나오지 않은 것으로 보아 자연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인공적으로 축조한 것으로로 추정된다. 그 호수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알고 있으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저수지가 없는 \'땅골\' 계곡이 나오는 이월드 뒤쪽과 반고개 일대의 1910 ~ 1930년대의 지도 이미지
달서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달서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산대못 위쪽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이 곳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달서천 발원지 1(영남대병원 뒤쪽-추정\" 에서 발원한 물줄기와 만나는 지점이다.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달서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달서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달서천 발원지 1(영남대학교병원 뒤쪽-추정)\"에서 발원한 물줄기와 \"달서천 발원지 3(삼봉산 좌측-추정)\"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만나는 지점으로 추정된다.
달서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달서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달서천 합수 예상지점-1(명덕초등학교 뒷쪽)\"에서 하나로 합쳐진 물줄기와 \"달서천 발원지 4(이월드 83타워 뒷쪽 -추정)\"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만나는 지점으로 추정된다.
달서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달서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내당1동우체국앞 버스정류장 발원지와 황제종합장식 건너 발원지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이곳에서 하나로 합쳐져 들마못을 경유한 후 서대구중학교 뒤쪽에서 달서천 본류와 합쳐진다.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달서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달서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내당1동우체국앞 버스정류장 발원지와 황제종합장식 건너 발원지에서 발원하여 평리푸르지오 뒤쪽에서 하나로 합쳐져 들마못을 경유한 후 이곳에서 달서천 본류와 합쳐진다.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달서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달서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달서천 합수 예상지점-1(명덕초등학교 뒷쪽)\"에서 하나로 합쳐진 물줄기와 \"달서천 발원지 3(이월드 83타워 뒷쪽 -추정)\"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달성공원 옆에서 만나 하나로 합쳐져 흐르다가 이 곳에서 본류와 굴곡이 심한 구간이 있는 만평네거리 방향의 물줄기로 나누어지는 지점이다.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달서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달서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달서천 발원지 1(영남대학교병원 뒤쪽-추정)\"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달서천 발원지 2(삼봉산 좌측-추정)\"에서 발원한 물줄기와 \"달서천 합수 예상지점-1(명덕초등학교 뒷쪽)\"에서 하나로 합쳐져 흐르다가 \"달서천 발원지 3(이월드 83타워 뒷쪽 -추정)\"에서 발원한 물줄기와도 \"달서천 합수지점-2(달성공원 근처)\"와도 합쳐져서 하나로 흐르다가 북부정류장 밑의 다리에서 복개가 끝나고 하천이 모습을 드러내는 지점이다.
이 곳에서는 달서천 복개구간을 흐르던 오수는 별도의 관으로 흘려보내고 대구시민들이 사용하던 생활하수와 공장폐수 등을 인근 달서천하수처리장에서 깨끗한 물로 정화하여 달서천으로 방류한다. (1)
이 곳에서 모습을 드러낸 하천은 생태하천으로 금호강 합수점까지 흐른다.
(1).참고자료(링크): https://www.dgeic.or.kr/dgeic_doc.html?cid=280

대명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명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대명천 본류의 발원지로써 이 곳에서 발원한 물줄기는 보성청록타운 ~ 안지랑네거리 ~ 경동빌딩(구 홀마트) ~ 두리봉네거리 ~ 제일여상 ~ 장기동 먹자골목 ~ 대명유수지(달서구 대천동)까지 흐르다가 진천천으로 합류한다.
발원지의 약수터에는 한자로 청수천(淸水泉)과 함께 \\\\\\\'91.4.5\\\\\\\' 라고 적혀진 표시가 보인다.(1)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 관련 이미지가 있는 게시물(링크): https://blog.naver.com/tlsxhdgkspdy/221277806160

대명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명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대명천의 안지랑골 지류의 발원지로써 이 곳에서 발원한 물줄기는 대덕식당 ~ 가르멜수녀원 옆 ~ 안지랑 곱창골목을 흐르다가 안지랑네거리 남쪽에서 대명천 본류와 합류한다.
안지랑골 골짜기의 물은 당시 효험이 뛰어나서 부스럼, 헌디, 두드러기 등은 찬물에 씻기만 하면 다 나았다고 한다.
또한. 안지랑골 계곡 속에 철분이 많아서 피부병이 있는 사람이 이 물에 씻으면 고름이 툭툭 터지고 가려움증이 가신다고 하고 심지어 좋다는 약을 다 써도 고치지 못한 병도 안지랑골 계곡에 와서 씻고 나은 사람도 있다고 한다.
그 밖에도 옛날에는 백리 밖에서도 가마를 타고 와서 씻고 가기도 하고 정말인지 거짓말인지는 몰라도 앉은뱅이도 나아갔다고 해서 안지랑이라 불린다고 한다.(1)
또한. 경북 군위군에 살던 한 친척분이 폭포(안지랑골에 있는)에서 떨어지는 물을 맞기 위해 안지랑골까지 왔었다고 하는 이야기가 전해졌다. (2)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 참고: 대구이야기-안지랑이(링크): http://www.daegustory.com/story/story-nam/nam-035.htm
(2) 관련 게시물(링크) https://potter1007.tistory.com/283?category=250916
대명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명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대명천의 무당골 지류의 발원지로써 이 곳에서 발원한 물줄기는 앞산빨래터공원~ 대명남로(추정~ 코스모스맨션 서쪽(추정)을 흐르다가 두리봉네거리 서쪽에서 대명천 본류와 합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무당골 지류가 있었던 곳이 어딘지에 대하여 자세히 알고 있거나 무당골 지류에 대한 여러 내용들을 알고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대명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명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대명천 매자골 지류의 발원지로써 이 곳에서 발원한 물줄기는 매자골 입구(구 승마장) ~ 송현공원 서쪽 ~ 한영한마음 아동병원(구 달성군청) 서쪽을 흐르다가 장원숯불 건너편에서 대명천 본류와 합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매자골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옛날 매화(梅花) 낙화지(洛花地)에서 연유되었으며, 지금으로부터 300약 전에 대덕산에 있었던 성 기도사가 이 곡의 지세를 목형으로 보았고, 그런 어느 해 이른 봄 이 골짜기에 매화가 스럽게 피더니 구암동(현 송현동)에 떨어졌다 하여 매자골이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1)
매자골 지류에 대한 여러 내용들을 알고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 참고자료(링크): http://www.daegustory.com/story/story-dal/dal-034.htm
대명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명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청룡지맥의 산줄기와 맞닿아 있으며 이 곳에서 발원한 물줄기는 양지남길 서쪽 ~ 성당시장 앞(종합복지회관) ~ 두류공원네거리를 거쳐 두리봉네거리 앞에서 대명천 본류와 합류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이러한 물줄기가 존재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실제 양지로 동아설비상사 앞에서 골목길로 들어가면 내리막이 나오고 그 내리막이 양지남길이 있는 곳에서 끝나고 다시 오르막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이 곳에도 물줄기가 존재하였다는 것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대명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명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대명천 발원지(본류-앞산큰골계곡 약수터)\"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복개가 시작되는 지점이다.
복개는 1980년대에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주위로는 앞산공원 버스종점이 있다.
대명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명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대명천 발원지(본류-앞산큰골계곡 약수터)\"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복개가 시작되는 지점이다.
복개는 1980년대에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주위로는 앞산공원 버스종점이 있다.

대명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명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대명천 매자골 지류의 물길 이 곳에서 복개되어 흐르기 시작한다. 주위로는 과거에 승마장이 있었고, 현재는 양궁 훈련장과 한 골프연습장이 있다.
매자골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옛날 매화(梅花) 낙화지(洛花地)에서 연유되었으며, 지금으로부터 300약 전에 대덕산에 있었던 성 기도사가 이 곡의 지세를 목형으로 보았고, 그런 어느 해 이른 봄 이 골짜기에 매화가 스럽게 피더니 구암동(현 송현동)에 떨어졌다 하여 매자골이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1)
매자골 지류에 대한 여러 내용들을 알고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 참고자료(링크): http://www.daegustory.com/story/story-dal/dal-034.htm
대명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명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대명천 발원지(본류-앞산큰골계곡 약수터)\"에서 발원한 물줄기와 \"대명천 발원지(지류-앞산 안지랑골 발원지)\"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대명천 합수지점-1(안지랑네거리 남쪽)\" 에서 하나로 합쳐저 흐르다가 두리봉네거리에서 \"대명천 발원지(지류-삼성{닥트}공업사 건너-예상물길)\"에서 발원한 물줄기와 합쳐저 흘러가다가 복개가 종료되고 하천이 모습을 드러내는 지점이다.
복개 종료지점 위에 있는 구마고속도로를 기준으로 동쪽으로는 장기동 먹자골목이, 서쪽으로는 대구출판인쇄정보밸리가 위치해 있다.
대명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명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내당동 안땅골 계곡에서 발원하여 두류네거리 옆을 흘러간 후 감삼못을 통과하고, 감삼동 일대를 흘러간 물줄기가 복개가 끝나고 모습을 드러내는 곳이다.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대명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명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대명천 발원지(본류-앞산큰골계곡 약수터)\"에서 발원한 물줄기와 \"대명천 발원지(지류-앞산안지랑골 발원지)\"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만나는 지점이다.
대명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명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대명천 발원지(본류-앞산큰골계곡 약수터)\"에서 발원한 물줄기와 \"대명천 발원지(지류 2-앞산 무당골 발원지)\"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대명천 합수지점-1(안지랑네거리 남쪽)\" 에서 하나로 합쳐저 흐르다가 \"대명천 발원지(지류-삼성{닥트}공업사 건너-예상물길)\"에서 발원한 물줄기와 만나는 지점이다.
대명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명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무당골에서 발원한 대명천의 지류가 \'무당골 입구복개 시작지점에서 복개된 채로 흐르다가 대명천으로 합수되는 지점이다.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대명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명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매자골에서 발원한 대명천의 지류가 \'대명천 복개 시작지점(지류-매자골 입수{구 승마장} 에서 복개된 채로 흐르다가 대명천으로 합수되는 지점이다.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대명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명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달서별빛캠프 캠핑장 위와 성불사 계곡 발원지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이곳에서 하나로 합쳐저 흐른다.
산대미못 옆에서 하나로 합쳐저 흐르는 물줄기는 대명천 물줄기와는 약 200 ~ 400m 정도 남쪽으로 떨어진 곳을 동쪽에서 서쪽으로 가로질러 흐른다.(1)
(1)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 \'구지도 통판서비스\'의 본리동 일대의 1960년대 지도를 보면 대명천 본류 물줄기와 약 약 200 ~ 400m 정도 남쪽으로 떨어진 곳에또 하나의 물줄기가 보인다.아마도 이 물줄기가 대명천의 산대미못 지류의 물줄기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물줄기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알고 있으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대명천의 산대미못 지류의 물줄기가 보이는 지도 이미지(출처: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 \'구지도 통판서비스\')

대명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명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달서별빛캠프 캠핑장 위와 성불사 계곡 발원지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산대미못 옆에서 하나로 합쳐저 흐르다가 이 곳에서 대명천 본류와 합쳐진다.
산대미못 옆에서 하나로 합쳐저 흐르는 물줄기는 대명천 물줄기와는 약 200 ~ 400m 정도 남쪽으로 떨어진 곳을 동쪽에서 서쪽으로 가로질러 흐른다.(1)
(1)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 \'구지도 통판서비스\'의 본리동 일대의 1960년대 지도를 보면 대명천 본류 물줄기와 약 약 200 ~ 400m 정도 남쪽으로 떨어진 곳에또 하나의 물줄기가 보인다.아마도 이 물줄기가 대명천의 산대미못 지류의 물줄기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물줄기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알고 있으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대명천의 산대미못 지류의 물줄기가 보이는 지도 이미지(출처: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 \'구지도 통판서비스\')
대명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명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와룡산 새방골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이 곳에서 복개가 시작된 후 흐르다가 성당자동차학원 앞에서 대명천의 감삼못 지류와 합쳐져 흐른다.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대구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구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과거 대구 중심 일대를 흘렀다가 일제시대 이후 복개된(물줄기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대구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여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대구천의 발원지로 이 곳에서 발원한 물줄기는 경일여고 뒷쪽과 ~ 대구화교중학교 ~ 봉덕시장 ~ 건들바위네거리까지 이어지다가 이곳에서 ~ 봉산문화거리 ~ 반월당 일대를 거쳐 대구제일교회 앞(계산오거리 근처)에서 달서천 본류와 만나는 물줄기와 경대사대부고 ~ 중앙도서관 ~ 대구광역시청 ~ 교동네거리 ~ 칠성시장 서편을 거쳐 신천으로 합류하는 두 개로 갈라져 흐르는 물줄기로 추정된다. [ 관련 기사] (1)[관련 게시물](2)
또한. 1910 ~ 1930년대에는 삼정골 일대에 동그란 호수가 있었지만, 1960년대에는 동그란 호수가 없어지고 \'ㄱ\' 자 형태로 된 호수가 보인다. (3)
또한. 대구천 발원지인 \'삼정골\' 이라는 지명은 지금도 찾아볼 수 있으며 730번 버스의 지선 중 \'삼정골\' 방향 지선이 있다.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 영남일보-잘못된 지명 신천은 ‘사이천’의 오류… 원래 지금처럼 흘렀지 새 물줄기 아니다
(2) 관련 게시물(링크): https://blog.naver.com/bizopenkorea/221684715570
(3)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 \'구지도 통판서비스\'의 삼정골 일대의 1910 ~ 1930년대 지도를 보면 삼정골 일대에 동그란 호수가 보이지만, 1960년대의 지도에는 동그란 호수가 없고, 주변에 \'ㄱ\' 자 모양의 길쭉한 호수가 있는 것으로 보아 아마도 동그란 호수를 매립하고 주변에 \'ㄱ\' 자 모양의 길쭉한 호수를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그 호수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알고 있으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동그란 호수가 보이는 1910 ~ 1930년대의 지도 이미지(출처: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 \'구지도 통판서비스\')
주변에 \'ㄱ\' 자 모양의 길쭉한 호수가 보이는 1960년대의 지도 이미지(출처: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 \'구지도 통판서비스\')

대구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구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앞산 삼정골에서 발원한 대구천의 물줄기가 봉산문화거리 ~ 반월당 일대를 거쳐 대구제일교회 앞(계산오거리 근처)에서 달서천 본류와 만나는 물줄기와 경대사대부고 ~ 중앙도서관 ~ 대구광역시청 ~ 교동네거리 ~ 칠성시장 서편을 거쳐 신천으로 합류하는 두 개로 갈라지기 시작하는 곳이다. [관련 기사] (1)[관련 게시물](2)
건들바위는 암벽의 균열과 하천의 침식작용으로 언덕 아래 퇴적암으로 구성된 일종의 하식애(河蝕崖) 형태의 입석(立石)으로 과거에는 입암(立巖) 이라고 불렸으며,(3) [관련기사](4) 일제시대에 대구천이 사라지기 전까지는 건들바위 주위로 맑고 풍부한 냇물이 흘렀다.(5)
또한. 일부에서는 건들바위가 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된 대구 10경의 하나로 서거정 선생이 지은 ‘입암조어(笠巖釣魚)’의 배경이라는 설과 특히. 아기를 갖지 못한 부인이 치성을 드리면 효험이 있다고 하여 많이 찾는다는 설, 건들바위 위에서는 낚시를 할 수 있다는 설이 있는데 이는 모두 거짓이다. (6)
그 이유는 서거정 선생이 1530년(중종 25년)에 남긴 시 7언절구 10수인 대구십영(大丘十詠)에 나오는 입압(笠巖) 이 건들바위가 아니라 삿갓바위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건들바위를 입압(笠巖)으로 보는 것은 모두 잘못된 생각이며 건들바위는 조선시대부터 중요한 역사가 있었던 장소가 아니다. (7)
또한. 대구천 발원지인 \'삼정골\' 이라는 지명은 지금도 찾아볼 수 있으며 730번 버스의 지선 중 \'삼정골\' 방향 지선이 있다.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건제보하기 바랍니다.
(1), (6) 영남일보-잘못된 지명 신천은 ‘사이천’의 오류… 원래 지금처럼 흘렀지 새 물줄기 아니다
(2) 관련 게시물(링크): https://blog.naver.com/bizopenkorea/221684715570
(3) 관련 게시물(링크): https://blog.naver.com/haksengyo/221092554470
(4) 매일신문-[大邱十景] ②입암의 낚시(笠巖釣魚)
(5) 관련 게시물(링크): https://blog.naver.com/adagio1017/222142929053
(7) 매일신문-[광장]건들바위(立巖)와 삿갓바위(笠巖) : 네이버 뉴스 (naver.com)

대구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구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앞산 삼정골에서 발원하여 경일여고 앞 ~ 봉덕시장 앞 ~ 고미술거리 일대를 거쳐 건들바위 앞에서 분류(分流)하여 경대사대부고 ~ 중앙도서관 ~ 대구광역시청 ~ 교동네거리를거친 물줄기가 이곳에서 칠성시장 동쪽 끝에서 신천으로 합류하는 물줄기와 경명여중 ~ 옥산초 옆쪽을 거치는 물줄기를 비롯하여 대구삼성창조캠퍼스(구 제일모직) 안을 거쳐 원대동과 노원동쪽으로 가는 여러 물줄기로 갈라지는 곳으로 추정된다.(1) (2)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 대구천의 칠성시장 방향 지류에 대하여는 현재까지 일부 추정 기록과 과거 지도가 전부이며 세부적인 기록은 정확하게 밝혀져야 이를 알 수 있다.

대구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구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앞산 삼정골에서 발원한 후 건들바위 앞에서 분류(分流)하여 경대사대부고 ~ 대구광역시청 ~ 교동네거리를 거치고 대성시장 앞에서 갈라져 경명여중 ~ 옥산초 옆쪽을 거친 물줄기가 이곳에서 도청교 건너편으로 가는 물줄기와 대구삼성창조캠퍼스(구 제일모직) 안을 거쳐 원대동과 노원동쪽으로 가는 여러 물줄기로 갈라지는 곳으로 추정된다.(1) (2)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 대구천의 칠성시장 방향 지류에 대하여는 현재까지 일부 추정 기록과 과거 지도가 전부이며 세부적인 기록은 정확하게 밝혀져야 이를 알 수 있다.

대구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구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앞산 삼정골에서 발원한 후 건들바위 앞에서 분류(分流)하여 경대사대부고 ~ 대구광역시청 ~ 교동네거리를 거치고 대성시장 앞에서 갈라져 경명여중 ~ 옥산초 옆쪽을 거친 물줄기가 이곳에서 도청교 건너편으로 가는 물줄기와 대구삼성창조캠퍼스(구 제일모직) 안을 거쳐 원대동과 노원동쪽으로 가는 여러 물줄기로 갈라지는 곳으로 추정된다.(1) (2)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 대구천의 칠성시장 방향 지류에 대하여는 현재까지 일부 추정 기록과 과거 지도가 전부이며 세부적인 기록은 정확하게 밝혀져야 이를 알 수 있다.

대구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구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앞산 삼정골에서 발원한 후 건들바위 앞에서 분류(分流)하여 경대사대부고 ~ 대구광역시청 ~ 교동네거리를 거치고 대성시장 앞에서 갈라져 경명여중 ~ 옥산초 옆쪽을 거친 후 침산2동 일대에서 갈라져 대구삼성창조캠퍼스(구 제일모직) 안을 거친 물줄기가 원대동과 노원동쪽으로 가는 여러 물줄기로 갈라지는 곳으로 추정된다.(1) (2)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 대구천의 칠성시장 방향 지류에 대하여는 현재까지 일부 추정 기록과 과거 지도가 전부이며 세부적인 기록은 정확하게 밝혀져야 이를 알 수 있다.

대구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구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앞산 삼정골에서 발원한 후 건들바위 앞에서 분류(分流)하여 경대사대부고 ~ 대구광역시청 ~ 교동네거리를 거치고 대성시장 앞에서 갈라져 경명여중 ~ 옥산초 옆쪽을 거친 후 침산2동 일대에서 갈라져 대구삼성창조캠퍼스(구 제일모직) 안을 거친 후 노원동과 침산동쪽으로 가는 여러 물줄기로 갈라지는 곳으로 추정된다.(1) (2)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 대구천의 칠성시장 방향 지류에 대하여는 현재까지 일부 추정 기록과 과거 지도가 전부이며 세부적인 기록은 정확하게 밝혀져야 이를 알 수 있다.
달서천, 대구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각각 달서천, 대구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대구천 발원지(앞산 삼정골)\" 에서 발원하여 대구천 물줄기가 건들바위 ~ 봉산문화거리 ~ 반월당 일대를 흘러간 대구천 물줄기가 달서천 본류와 만나는 지점이다.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대구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구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앞산 삼정골에서 발원한 후 건들바위 앞에서 분류(分流)하여 경대사대부고 ~ 대구광역시청 ~ 교동네거리를 거치고 대성시장 앞에서 칠성시상 서편을 흐르다가 이 곳에서 신천과 합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 (2)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 대구천의 칠성시장 방향 지류에 대하여는 현재까지 일부 추정 기록과 과거 지도가 전부이며 세부적인 기록은 정확하게 밝혀져야 이를 알 수 있다.

대구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구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앞산 삼정골에서 발원한 후 건들바위 앞에서 분류(分流)하여 경대사대부고 ~ 대구광역시청 ~ 교동네거리를 거치고 대성시장 앞에서 분류하여 경명여고 ~ 침산초 옆쪽과 침산2동 일대를 흐른 후 이 곳에서 신천과 합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 (2)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 대구천의 칠성시장 방향 지류에 대하여는 현재까지 일부 추정 기록과 과거 지도가 전부이며 세부적인 기록은 정확하게 밝혀져야 이를 알 수 있다.

대구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구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앞산 삼정골에서 발원한 후 건들바위 앞에서 분류(分流)하여 경대사대부고 ~ 대구광역시청 ~ 교동네거리를 거치고 대성시장 앞에서 분류하여 경명여고 ~ 침산초 옆쪽을 흐르다가 침산2동 일대에서 분류하여 대구삼성창조캠퍼스(구 제일모직) 안을 흐른 후 노원동과 원대동 쪽으로 분류하여 흐르는 물줄기 중 하나가 금호강으로 합류하는 지점이다.(1) (2)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 대구천의 칠성시장 방향 지류에 대하여는 현재까지 일부 추정 기록과 과거 지도가 전부이며 세부적인 기록은 정확하게 밝혀져야 이를 알 수 있다.

대구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구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앞산 삼정골에서 발원한 후 건들바위 앞에서 분류(分流)하여 경대사대부고 ~ 대구광역시청 ~ 교동네거리를 거치고 대성시장 앞에서 분류하여 경명여고 ~ 침산초 옆쪽을 흐르다가 침산2동 일대에서 분류하여 대구삼성창조캠퍼스(구 제일모직) 안을 흐른 후 노원동과 원대동 쪽으로 분류하여 흐르는 물줄기 중 하나가 금호강으로 합류하는 지점이다.(1) (2)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 대구천의 칠성시장 방향 지류에 대하여는 현재까지 일부 추정 기록과 과거 지도가 전부이며 세부적인 기록은 정확하게 밝혀져야 이를 알 수 있다.

대구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구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앞산 삼정골에서 발원한 후 건들바위 앞에서 분류(分流)하여 경대사대부고 ~ 대구광역시청 ~ 교동네거리를 거치고 대성시장 앞에서 분류하여 경명여고 ~ 침산초 옆쪽을 흐르다가 침산2동 일대에서 분류하여 대구삼성창조캠퍼스(구 제일모직) 안을 흐른 후 노원동과 원대동 쪽으로 분류하여 흐르는 물줄기 중 하나가 금호강으로 합류하는 지점이다.(1) (2)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 대구천의 칠성시장 방향 지류에 대하여는 현재까지 일부 추정 기록과 과거 지도가 전부이며 세부적인 기록은 정확하게 밝혀져야 이를 알 수 있다.

대구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구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앞산 삼정골에서 발원한 후 건들바위 앞에서 분류(分流)하여 경대사대부고 ~ 대구광역시청 ~ 교동네거리를 거치고 대성시장 앞에서 분류하여 경명여고 ~ 침산초 옆쪽을 흐르다가 침산2동 일대에서 분류하여 대구삼성창조캠퍼스(구 제일모직) 안을 흐른 후 노원동과 원대동 쪽으로 분류하여 흐르는 물줄기 중 하나가 금호강으로 합류하는 지점이다.(1) (2)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 대구천의 칠성시장 방향 지류에 대하여는 현재까지 일부 추정 기록과 과거 지도가 전부이며 세부적인 기록은 정확하게 밝혀져야 이를 알 수 있다.

대구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대구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앞산 삼정골에서 발원한 후 건들바위 앞에서 분류(分流)하여 경대사대부고 ~ 대구광역시청 ~ 교동네거리를 거치고 대성시장 앞에서 분류하여 경명여고 ~ 침산초 옆쪽을 흐르다가 침산2동 일대에서 분류하여 대구삼성창조캠퍼스(구 제일모직) 안을 흐른 후 노원동과 원대동 쪽으로 분류하여 흐르는 물줄기 중 하나가 금호강으로 합류하는 지점이다.(1) (2)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 대구천의 칠성시장 방향 지류에 대하여는 현재까지 일부 추정 기록과 과거 지도가 전부이며 세부적인 기록은 정확하게 밝혀져야 이를 알 수 있다.
범어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범어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범어천 본류의 발원지로써 이 곳에서 범어천이 발원한 후 진밭골 일대를 거친 후 복개된 범어천으로 이어진다.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범어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범어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범어천이 진밭골 발원지에서 흐르다가 첫 번째로 복개가 시작되는 곳으로 주위에 있는 작은 저수지에서 나온 물이 얼마 안 가 복개된다. 이 곳에서 작은 도로를 따라 조금 이동하면 범물동 버스종점과 대구도시철도 3호선의 종착역인 용지역이 나온다.

범어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범어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범어천이 814번 버스종점 앞에서부터 복개되어 흐르다가 첫 번째로 복개가 끝나고 모습을 드러내는 곳으로 가창정수장에서 취수하여 공급한 수성못 물이 이 곳에 위치한 분수를 통하여 범어천에 공급된다.(1) 이 곳에서 모습을 드러낸 하천은 대구도시철도 3호선 교량 밑-동대구로의 두 방향 차선 사이를 흐르다가 \'범어천 두 번째 복개 시작지점(어린이회관역 앞)\' 에서 다시 복개가 되어 흘러간다.
(1) 관련 게시물: https://blog.naver.com/daegu_news/221687273606
범어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범어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범어천이 동대구로 일대를 흐르다가 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흐르기 시작하는 지점으로 주변에 어린이회관과 대구학생과학관(구 대구과학교육원) 이 위치해 있고, 이 곳부터 대구중앙고 앞까지 복개가 이어지다가 복개가 끝나고 얼마 안 가 신천으로 합류한다.
범어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범어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범어천이 어린이회관역 앞에서 부터 복개되어 흐르다가 복개가 끝나고 하천의 모습이 드러나는 곳이다. 이 곳을 흐르는 물줄기는 얼마 안 가 신천으로 합류한다.
범어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범어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두리봉 밑 계곡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이 곳에서 복개된 후 달구벌대로 밑쪽의 만촌동과 범어동 일대를 경유한 후 범어못으로 흘러들어가고, 그 물줄기가 범어못에서 나와 야시골 일대를 흐른 후 범어천 본류와 합쳐진다.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범어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범어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두리봉 밑 계곡에서 발원한 후 달구벌대로 밑쪽의 만촌동과 범어동 일대를 경유한 후 범어못으로 흘러들어가고, 그 물줄기가 야시골 일대를 흘러 이 곳에서 범어천 본류와 합쳐진다.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범어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범어천 물줄기 부분을 클릭하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수성못 위쪽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수성못을 통과한 후 바로 복개되고, 들안길 서편 ~ 황금동 일대 ~ 범어3동주민센터 밑을 흐른 후 이 곳에서 범어천 본류와 합쳐진다.
만일 이러한 물줄기에 대하여 개발자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또 다른 사실이나 기록(다른 지류,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다른 사실이나 기록 등)을 알게 되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형태 | 인공 호수(조선 중엽으로 추정) |
면적 | 0.042 km2(현재) |
위치 |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당1동 일대 |
유입/유출 | 죽곡취수장 - 죽곡정수장 - 성당못(유입) 성당못 - 대명천 - 낙동강(유출) |
매립 구간 | 앞산공원 버스종점 옆 ~ 장기동 먹자골목 2공영주차장 옆(총 6.9km 정도) |
매립 년도 | 대구문화예술회관 및 두류공원 서편 일부, 두류공원 무료주차장 및 인라인 스케이트장(1970년대) |
성당못(聖堂못)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당1동에 있는 못으로 면적은 0.042 km2 이며 1970년대에 도시 개발로 본래 크기의 30% 정도만 남아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성당못을 채우는 물은 죽곡취수장에서 취수한 물을 죽곡정수장을 통하여 정수한 후 매일 5천 t 씩 공급하며 물이 나가는 경로는 대명천을 통하여 낙동강으로 흘러간다.
성당못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2가지가 전해 내려온다고 하며 이 중 하나는 이 지역의 산 모습이 성당못을 중심으로 하여 용이 승천하는 모양으로 길지(명당)의 의미인 성당으로 불렀다고 하고, 또 하나는 일제시대 이곳에 천주교 성당이 있었는데 독립운동 장소로 발각되어 일본 경찰에 의해 강제로 철거된데 따라 성당이라 부른다고 전해진 것이며 성당못에서의 성당이라는 명칭은 일반적인 의미의 종교 시설인 성당과는 다르다.(1)
또한. 성당못 일대를 옛날에는 성댕이, 상댕이라고 불리다가 1910년부터 성당동이라고 불렸는데, 동네 이름을 따서 예부터 성당못이라고 하였다. 이곳 성당못이 있던 자리는 조선 중엽 채씨 성을 가진 판서가 살던 집터였는데, 국풍(나라에서 지정한 공인 풍수가)이 이곳을 지나다 보니 그 자리가 아주 명당이라 장차 임금이 태어날 명당이라고 해서 나라에서 집을 짓지 못하도록 성당못을 만들었다고 한다.(2)
(이러한 유래만으로는 성당못이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호수라는 것을 정확히 알기는 어려우며 인공호수임을 입증할 수 있는 기록이나 성당못과 관련하여 개발자가 미처 알지 못하였던 사실이나 기록이 있을 경우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2)관련 게시물: 성당못이라는 이름의 유래와 대구지역의 도시개발로 없어진 못들

형태 | 인공 호수(고려시대 축조로 추정) |
면적 | 11,212㎡(1994년 매립 이전까지) |
위치 | 대구광역시 북구 복현2동 일대 |
유입/유출 | 금호강(배자못 양수장)-배자못(유입) 배자못 - ?(유출) |
매립 구간 | 모든 부분 매립 |
매립 년도 | 모든 부분 매립(1994년) |
배자못(-대불지{大佛池})은 대구광역시 북구 복현2동의 복현오거리 근처 ~ 검단네거리 까지의 일대에 있었던 인공 못으로 1994년에 모두 매립되었고, 못의 면적은 11,212㎡ 이었던 못이었으며 남북으로 길쭉한 형태를 가진 못이었다. 1994년에 못이 모두 매립된 후 배자못이 위치했던 곳에는 총 5곳의 건설사(건영,청구,대백,서한,보성,화성)가 시공한 아파트단지가 들어서게 되었다.
배자못은 대불지(大佛池) 라고도 불리며 못 이름의 유래는 못 주변에 배씨와 채씨가 많이 거주하여 \\\'배채못\\\' 으로 불렸던 것이 \\\'배자못\\\' 으로 변하였다는 설과 저수지를 축조하다가 커다란 불상이 빌견되어 \\\'대불지\\\' 라고 불리게 되었다는 설 등 다양한 이야기가 전해오지만 대불지 이전에도 16세기 조선시대 인문지리서 \\\'신증동국여지승람\\\'과 18세기 \\\'대구읍지\\\'에는 대불지가 불상지(佛上池)로 나왔으며 고려시대 때부터 존재하였던 유서 깊은 못이라는 점이 존재한다.(1)
그 후 일제강점기인 1938년 5월에는 못이 확장되었고, 1958년 7월 초에는 대구에 일주일간 내린 장마비로 대불지가 범람위기에 처했던 적이 있었다.(2)
또한. 배자못은 1960년대 까지만 하더라도 식용이 가능한 말을 채취할 만큼 물이 깨끗하였고, 버들붕어,가물치,송사리 붕어 등의 여러 종류의 물고기가 많았으며 여름에는 못에서 멱을 감고 못의 둑은 낚시꾼으로 가득하였다.
1974년에는 희귀연꽃인 가시연꽃이 발견되었을 정도로 물이 상당히 맑고 깨끗하였다. 또한 70년대 못 인근 대학교 지리학과 대학생이 배자못에서 측량실습을 하기도 하였다.(3)
하지만. 1975년 부터는 인근에 검단공단이 조성되고 아파트와 주택이 들어서게 되면서 공장폐수와 생활오수가 배자못으로 유입되어 굽격하게 오염되기 시작하였고, 심지어는 기형물고기까지 발견이 되었다.(4)
또한. 같은 해 무허가 시계수리공인 범인이 피해자로부터 시계수리를 부탁받은 후 팔아버리고 도망갔고 1년 후 피해자가 시계수리공에게 항의하자 머리를 때려서 살해한 후 시신을 토막내서 배자못에 버렸다고 전해진 엽기적인 살인사건이 발생하면서 배자못 안에서 토막살해된 시신까지 발견되어 전국적인 뉴스가 되었다.
배자못과 관련하여 개발자가 미처 알지 못하였던 사실이나 기록이 있을 경우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2),(3),(4)관련 기사: 고려 때 축조된 ‘대불지’에서 불상·가시연꽃·토막시신·기형물고기 발견 (yeongnam.com), 호수만 그냥 두었으면 세계적 관광지가 되었을 텐데 : 네이버 뉴스 (naver.com)
(5) 관련 기사 목록: 배자못 ::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naver.com)-1975년 기사

형태 | 자연 호수로 추정 |
면적 | 25,000㎡(1984년 전면 매립 이전까지) |
위치 | 대구광역시 서구 내당4동, 달서구 두류3동 일대 |
유입/유출 | 땅골 지류 및 그 밖의 두류산, 금봉산에서 발원한 물중기들-감삼못(유입) 감삼못-대명천-낙동강(유출) |
매립 구간 | 모든 부분 매립 |
매립 년도 | 못 동쪽 일부(현 달성고등학교) 및 두류3동 일대(1973년) 나머지 부분(현. 청구광장타운1·2차아파트단지) 매립(모든 부분매립)(1984년 3월) |
감삼못(甘三못)은 대구광역시 서구 내당4동과 달서구 두류3동 일대에 있었던 못으로 면적은 25,000㎡이었고 자연호수로 추정되는 못이었다. 감삼못은 1973년에 동편이 먼저 매립되으며 이로부터 11년 후인 1984년에는 나머지 부분이 모두 매립되어 현재는 못이 모두 사라지게 되었다.
또한. 배자못(대불지), 성당못과 함께 수 백년의 역사를 가진 커다란 못 중에 하나이고, 61년에는 감삼못에서 낚시를 하던 2명의 대학생이 익사한 사건이 발생하였고 80년 1월에는 미군헬기가 감삼못에서 얼음을 지치다 빠진 한 어린이를 구조한 사건이 발생하였다.(1)
감삼못 명칭의 유래에 대하여는 과거 감삼못은 ‘감생이못’이라 불리기도 하였고., 감삼못 뒤편에 감나무가 많아서 감삼이 됐다는 설, 원님이 지나다 백성이 준 감 3개를 먹은 후 감삼으로 했다는 설, 못 주변에 홍씨(洪氏) 성을 가진 사람이 많이 살아 홍시(감)가 됐다는 설이 있지만 이 중 어느 하나의 설도 분명하지 않다.(2)
감삼못의 수원은 내당동 안땅골에서 발원한 물줄기와 그 밖에 금봉산과 두류산에서 발원한 여러 물줄기이며 아러한 물줄기들이 모여 감삼못을 이루게 되었다. 이 물은 감삼동, 죽전동, 용산동 등 성서와 월배지역 농토에 농업용수로 공급되어 ‘단물(甘水) 역할을 하게 되었다.(3)
1768년에 발간된 대구읍지에는 ‘감삼제(甘三堤), 즉 감삼지가 서하하(西下下)에 위치하며 둘레가 6천410척(약 2㎞), 수심이 9척(2.7m)’이라고 나와 있고, 1918년 대구지형도에는 \\\'감삼지\\\' 가 보이며 감삼지 주변은 습지와 모래흙으로 덮여있고, 침엽수가 자생하고 있다고 전해졌다.(4)
감삼못은 1973년에 달성고등학교의 신설로 못의 동편이 먼저 매립되으며 이로부터 11년 후인 1984년 3월에는 청구주택이 감삼못을 메워 광장타운1·2차아파트단지를 조성하면서 나머지 부분까지도 모두 매립되어 안타깝게도 역사 속으로 못이 모두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5)
감삼못과 관련하여 개발자가 미처 알지 못하였던 사실이나 기록이 있을 경우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2),(3),(4) 관련 기사: 고려 때 축조된 ‘대불지’에서 불상·가시연꽃·토막시신·기형물고기 발견 (yeongnam.com)
(5) 관련 기사: 호수만 그냥 두었으면 세계적 관광지가 되었을 텐데 : 네이버 뉴스 (naver.com)

형태 | 자연 호수 |
면적 | 약 **평 정도(1928년 매립 이전) |
위치 | 대구광역시 중구 대신동 일대 |
유입/유출 | 주변 구릉지의 물줄기 - 천황당못(유입) 천황당못 - ?(유출) |
매립 구간 | 전 구간 매립 |
매립 년도 | 1928년으로 추정(전 구간 매립) |
천왕당못(天王堂못) 은 대구광역시 중구 대신동 일대의 현재의 서문시장 자리에 있었던 못으로 1920년대 초에 모두 매립되어 사라진 못이다. 조선시대까지는 남소(南沼) 라고 부르다가 1905년부터 일제에 의하여 천왕당지(天王堂池) 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천왕당못은 주변 구릉에서 흘러내린 맑은 물에 의하여 저절로 만들어진 자연 호수로 호수 주변에는 참나무 숲이 무성했고, 지금의 동산병원 앞길과 대신로타리, 대신파출소 앞길, 옛 계성중고등학교의 담을 따라 위치한 건어물상 일대가 못이 위치했던 자리였으며, 성내 한량들이 즐겨 찾던 놀이터고 봄, 가을이면 인근 부녀자들의 놀이터로 각광을 받던 곳이었다.(1)
천황당못의 이름에 대한 역사를 자세히 살펴보면 남소(南沼)(천왕당못)는 서거정의 대구십영(大丘十詠) 이라는 시에서 나오는 10경 중 제5경인 남소하화(南沼荷花)에 처음 등장하며 서거정은 달성서씨로 달성토성이 세거지였고, 또한. 남소는 ‘달성토성 남쪽에 있는 연못’이라 해서 ‘남지(南池)’라고도 불렸다. 1750년대 초에 제작된 해동지도와 연대 미상의 여지도에는 ‘남소’로 나오고 지승(地乘) 경상도편에는 ‘남지’ 로 나온다. 경주도회(좌통지도)와 1903년 제작된 대구시가지도에는 이름 없이 나오다가 1905년과 1915년에 일제가 제작한 지도에는 ‘천왕당지(天王堂池)’로 바뀌어 나오며, 그 지도에서 나오는 \\\'천왕당지\\\'의 위치는 조선시대까지의 지도에 나왔던 \\\'남소\\\'와 일치한다는 점이 존재한다.(2)
천왕당못은 일제에 의하여 1928년에 내당동과 비산동 고지대에 있던 고분군의 봉토와 현재 대성초등학교 가 위치한 언덕의 흙으로 메워지면서 사라졌으며 달서문 터(중구 경상감영길 1) 앞에서 동산 파출소 터(중구 동산동 15) 앞의 오토바이 골목 일대에 위치히였던 옛 서문시장(큰장)은 천왕당못이 메워진 곳인 현재의 서문시장 위치(천왕당못)로 옮겨졌다.(3)
천왕당못과 관련하여 개발자가 미처 알지 못하였던 사실이나 기록이 있을 경우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 관련 게시물: 대구이야기-지명유래 : 중구-천황당못
(2)(3) 관련 기사: 고려 때 축조된 ‘대불지’에서 불상·가시연꽃·토막시신·기형물고기 발견 (yeongnam.com), 호수만 그냥 두었으면 세계적 관광지가 되었을 텐데 : 네이버 뉴스 (naver.com)

형태 | 자연 호수로 추정 |
면적 | 약 13,200㎡ 정도(1972년 매립 이전) |
위치 |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3동 일대 |
유입/유출 | 달성토성의 천연 해자 - 사리못(유입) 사리못 - ?(달서천 - 금호강 으로 추정)(유출) |
매립 구간 | 전 구간 매립 |
매립 년도 | 1972년(전 구간 매립) |
사리못은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3동 일대, 현재의 서부시장 자리에 있었던 자연 호수로 추정되는 못으로 면적은 약 13,200㎡ 정도였고 1972년에 모두 매립되어 사라지게 된 못이다, 사리못은 성당못, 배자못과 더불어 \\\'연화지\\\' 라는 이름으로 1530년에 발간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나와 있는 못 중 하나로써 고려시대에도 존재하였던 유서깊은 못이다.
하지만. \\\'연화지\\\'는 지금까지 어디에 위치했는지 정확하게 고증된 것이 하나도 없었고, 달성토성 인근에 있던 것으로만 추정하고 있으며, 대구읍지에는 연화제에 대해선 ‘서상(西上)에 있다. 둘레가 1천980척이고, 수심이 3척’이라 했고, 사리제에 대해선 ‘서중(西中)에 있으며 둘레가 1천840척, 수심이 3척’이라고 기록되어 연화제와 사리제를 따로 설명할 뿐만 아니라 1918년에 제작한 대구지형도에도 사리제, 또는 연화지로 추정되는 못이 나오는 등으로 \\\'연화지\\\' 가 \\\'사리못\\\' 이 아니라 다른 못이라고 추정할 수 있는 기록도 있어 \\\'연화지\\\' 가 \\\'사리못\\\' 이라고 무조건 100% 단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1)
사리못 물의 수원에 대하여는 달성토성은 천연 해자로 둘러싸인 곳이어서 그 천연 해자의 물이 범람하여 토성 주위에 크고 작은 못을 만들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할 것이며, 사리못에 연(蓮)이 많이 자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
사리못의 유래에 대하여는 못 주위에 몇 채의 집과 논밭이 있었고, 못 둘레에는 수양버드나무가 있었다고 하며, 이 곳이 사리못이라고 불려진 것은 아마도 불교에서 스님이 열반한 뒤 부장을 하면 남는다는 \\\"사리\\\"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지만 이 곳에는 옛날 불교와 관련이 있는 유적이 없어 이러한 설도 확실하지 않다. 또한. 일설에는 날뫼 언덕에 싸리나무가 많이 있었기 때문에 사리못이라고 불리었다는 말이 있다.(3)
사리못은 1972년에 모두 매립한 후 현재의 서부시장으로 개발하였으며 남북으로 길게 뻗은 현 서부시장의 면적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4)
사리못과 관련하여 개발자가 미처 알지 못하였던 사실이나 기록이 있을 경우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2) 관련 기사: MBC네거리 일대는 원래 ‘한골못’…‘연화지’ 는 정확한 위치 몰라 (yeongnam.com)
(3)(4) 관련 게시물: 대구이야기:지명유래 - 서구 - 사리못

형태 | 자연 호수로 추정(후에 인공으로 증축) |
면적 | 약 **㎡ 정도(1974년 매립 이전) |
위치 | 대구광역시 서구 평리3동 일대 |
유입/유출 | 달서천 지류 물줄기 - 들마못(유입) 들마못 - 달서천 지류 물줄기 - 금호강(유출) |
매립 구간 | 전 구간 매립 |
매립 년도 | 1974년(전 구간 매립) |
들마못은 대구광역시 서구 평리3동 일대, 현재의 서구청 자리에 있었던 자연 호수로 추정되는 못으로 1974년에 모두 매립되어 사라지게 된 못이다.
들마못은 달서천 수계의 지류에 위치해 있으며, 못에서 방류된 물중기는 달서천을 통하여 금호강으로 흘러들어간다.
들마못은 이름조차 없는 조그마한 못이었지만 못 주위로 점점 한 집, 두 집 인구가 늘어나면서 마을이 생기고 부터 \"들마을 못\" 이라고 부르게 된 것이 변해서 \'들마못\' 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하고, 들마못에서의 \'들마\'는 평리동의 옛 이름으로, 우리말 그대로 ‘들이 있는 마을’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 당시 들마못 일대 주민들은 못이 작아서 이 못의 물로는 농사짓기가 어렵게 되자 마을 사람들이 돈을 내어 못의 규모를 더 크게 만들었다고 한다. 들마못은 지금의 서구청이 들어서기 직전인 1974년까지 있었고 그 당시 못 주위에는 4, 5호의 집이 있었다고 한다. 들마못과 관련하여 개발자가 미처 알지 못하였던 사실이나 기록이 있을 경우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2) 관련 기사 및 게시물: 대구이야기:지명유래 - 서구 - 들마못, MBC네거리 일대는 원래 ‘한골못’…‘연화지’ 는 정확한 위치 몰라 (yeongnam.com)

형태 | 인공 호수로 추정 |
면적 | 약 3300㎡ 정도(1970년대 매립 이전) |
위치 |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1동,원대동 일대 |
유입/유출 | 달서천 지류 물줄기 - 날뫼못(유입) 날뫼못 - 달서천 지류 물줄기 - 금호강(유출) |
매립 구간 | 전 구간 매립 |
매립 년도 | 1970년대(전 구간 매립) |
날뫼못은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1동,원대동 일대, 현재의 비산 지하도 서편에 위치하였던 인공 호수로 추정되는 못으로 면적은 약 3300㎡ 정도였고, 1970년대에 모두 매립되어 사라진 못이다.
날뫼못은 현재는 복개된 달서천과 바로 인접해 있었고, 주변은 대부분 논과 밭, 미나리 등의 재배지로 이용되었으며, 상류로부터 물이 흘러 들어오고, 비가 많이 올 때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한 때에 농경지로 내보내 농사에 이용했다고 하며, 경부선 철도가 건설되기 이전까지는 못은 하나였지만 철도가 건설된 이후 기찻길을 경계로 2개의 못으로로 나눠졌다. 그 밖에도 날뫼못은 겨울철 스케이트 연습 장소로도 사용된 적도 있었다.(1)
날뫼못에서의 \\\'날뫼\\\' 라는 이름에 대한 유래는 비산동의 옛 이름으로 옛날 금호강 냇가에서 빨래를 하고 있던 한 여인이 서쪽 하늘에서 요란한 풍악소리가 들려와서 하늘을 바라보니 산 모양을 하고 있는 구름이 날아오고 있었고 이를 본 여인이 \\\"산이 날아온다\\\"고 비명을 지르자 날아오던 구름 산이 이전까지 평야였다고 전해졌던 비산동에 떨어져 동산이 되었다고 하며, 그 후 사람들은 이 지역을 \\\'날아온 산\\\' 이라고 하여 \\\'날뫼\\\' 라고 부르게 된 것이고, \\\'날뫼\\\' 가 한자로 \\\'비산(飛山)\\\' 이 되어 현재의 비산동에 이르게 된 것이다.(2)
1918년의 대구지형도에는 2개의 날뫼못이 표시돼 있으며, 날뫼못은 산업화가 되면서 과거 농토였던 곳에 주택과 공장이 들어서면서 생활하수와 공장폐수 등으로 오염되어 못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여 1970년대에 모두 매립되어 사라지게 되었다.(3)
날뫼못과 관련하여 개발자가 미처 알지 못하였던 사실이나 기록이 있을 경우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3)관련 기사 및 게시물: 대구이야기:지명유래 - 서구 - 날뫼못, 고려 때 축조된 ‘대불지’에서 불상·가시연꽃·토막시신·기형물고기 발견 (yeongnam.com)
(2) 관련 게시물: 대구이야기:지명유래 - 서구 - 비산동

형태 | 인공 호수 |
면적 | 약 만 여평 정도(1955년 매립 이전) |
위치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2동 일대 |
유입/유출 | 달서천(지류) - 새못(유입) 새못 - 달서천(지류) - 금호강(유출) |
매립 구간 | 전 구간 매립 |
매립 년도 | 1955년(전 구간 매립) | </tr
새못은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2동과 대명7동의 삼각로타리와 경상중학교 사이에 걸쳐 있었던 약 1만평 장도의 못으로 일제시대에 농업용수를 얻기 위해 만들어진 인공 못이다. 1918년에 제작된 대구지형도에는 -52- 라는 글자가 표시된 호수로 나온다. (1)
새못 이름의 유래는 못이 새로 만들어졌다고 해서 \\\'새못\\\' 이라고 불렸고, 못의 남쪽에 새못 안동네가 있었다고 한다.새못은 1955년경에 대구시의 주거 지역 확보를 위한 구획 정리로 쓰레기와 주위 야산을 깍아 내린 흙으로 매립되어 주거지로 변하면서 사라졌고, 현재는 못의 흔적조차 찾을 수 없게 되었다. (2)
새못과 관련하여 개발자가 미처 알지 못하였던 사실이나 기록이 있을 경우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 \\\'구지도 통판서비스\\\'의 삼각지네거리 일대의 1910 ~ 1930년대 지도를 보면 새못이 -52- 라고 표시된 커다란 호수로 보인다. 그 호수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알고 있으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52-\\\' 라고 표시된 호수가 보이는 지도 이미지(출처: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 \\\'구지도 통판서비스\\\')
(2) 관련 게시물: 대구이야기-지명유래 : 남구-새못

형태 | 인공 호수 |
면적 | 약 2만평 정도(1970년대 매립 이전) |
위치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2동 일대 |
유입/유출 | 산대못 - 달서천 - 영선못(유입) 영선못 - 달서천 - 금호강(유출) |
매립 구간 | 전 구간 매립 |
매립 년도 | 전 구간 매립(1970년대) |
영선못(靈仙못)은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2동 일대에 있었던 인공 못으로 면적은 약 2만 평이고 조선시대 말기에 축조되어 1970년 완전히 매립되기 이전까지 존재하였던 못이다.
영선지(靈仙池)라는 이름은 1924년 동아일보에서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그 이전인 1918년에 발행한 대구지형도에는 영선못이라는 이름이 보이지 않고 대신 영선못(약 2만평)이라 추정되는 저수지 북편에 수도배수지(수도산)가 위치하고, 바로 서쪽에 신지(新池·새못)가 있다고 나왔다.(1)
과거 영선지에는 못 둑에 막걸리와 비빔밥을 파는 주막이 있었고, 참나무와 벚꽃이 무성했다고 전해졌으며, 연신지(蓮信池)’ ‘영선지(營繕池) 라고 부른다는 1926년의 기록도 있다.(2)
또한. 영선지 남쪽에는 일제가 만든 충령탑(忠靈塔)이 높이 서 있었고 66년에 철거되었고. 영선못에서는 빙상경기도 자주 열렸으며 대구의 원로화가인 이경희 화백은 영선못에서 열린 빙상대회에 출전했다.(3)
광복 후 영선못은 대부분 매립되어 시민운동장으로 사용하였으며, 1970년대에는 완전히 매립되어 영선시장으로 탈바꿈하게 되었다,(4)
영선못과 관련하여 개발자가 미처 알지 못하였던 사실이나 기록이 있을 경우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2),(3),(4) 관련 게시물: 고려 때 축조된 ‘대불지’에서 불상·가시연꽃·토막시신·기형물고기 발견 (yeongnam.com)

형태 | 형태 미상 |
면적 | 약 **평 정도(1960년대 매립 이전) |
위치 |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 일대 |
유입/유출 | 달서천(지류) - 산대못(유입) 산대못 - 달서천(지류) - 금호강(유출) |
매립 구간 | 전 구간 매립 |
매립 년도 | 1960년대(전 구간 매립) |
산대못(山垈못)은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의 영대병원네거리 남쪽의 미군부대 내부(추정)에 있었던 못으로 1960년대에 매립되었고, 그 못이 자연못인지 인공못인지에 대한 정확한 기록이 없는 못이다.
산대못은 달서천의 영선시장쪽 지류의 상류에 위치해 있으며 못의 물은 달서천을 통해 금호강으로 유출된다.
그 밖에 1922년에 서상일이 독립운동 장소로 사용하기 위하여 착공한 조양회관(朝陽會舘)의 건설 과정에서 회원들이 건축비를 내지 못하게 되어 공사비를 혼자 떠맡게 되면서 서상일은 벽돌값으로 성주에 있던 논과 산대못을 백남채에게 넘겨 주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여기에서 말하는 산대못이 그 산대못이 맞는지는 확실하지 않다.(1)
산대못과 관련하여 개발자가 미처 알지 못하였던 사실이나 기록이 있을 경우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 관련 게시물:조양회관 朝陽會舘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형태 | 인공 호수로 추정 |
면적 | 약 2만평 정도(1960년대 매립 이전) |
위치 |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 신천1동 일대 |
유입/유출 | 이름미상의 하천 - 소래못(유입) 소래못 - 이름미상의 하천 - 신천(유출) |
매립 구간 | 전 구간 매립 |
매립 년도 | 1960년대(전 구간 매립) |
소래못(-송라못{松羅못})은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 신천1동 일대, 경부선철도가 지나는 신암지하도를 기준으로 북쪽 신암동 동신초등학교와 남쪽 신천동 송라아파트와 송라시장 일대에 위치 하였던 인공 호수로 추정되는 못으로 면적은 약 2만 평 정도였고 1960년대에 모두 매립되어 사라지게 되었다.
또한. 소래못은 원래 1개의 못이었지만 못 일대에 경부선 철도가 건설된 이후 2개의 못으로 나눠지면서 쌍둥이못으로도 불리게 되었다.
소래못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못의 형태가 소라를 닮았다고 해 소라라고 불려졌고, 그 이후 \\\'소라\\\'라는 말이 ‘소래’로 바뀌어지면서 소래못으로 불려지게 되고, \\\'소래\\\'를 한자로 표기하게 되면서 \\\'송라(松羅)\\\'가 되어 송라못이라고 불러졌다고 한다.(1)
소래못의 수원은 현재 신천시장 부근(수성구 범어동)으로 흐르는 범어천의 물을 막아 보를 만들고, 수로를 만어 배일촌(背日村, 현재의 대구청구중학교 앞 언덕 밑)을 거쳐 신천변 언덕(동구 신천동)을 따라 현재의 송라시장 일대(동구 신천동)를 지나 소래못으로 물이 들어가게 되었다.(2)
또한. 18세기에 발간한 대구읍지에는 ‘송라재의 둘레가 368척, 수심이 3척2촌’이라고 나와 있으며, 6·25전쟁 당시에는 못 주변에 피난민촌이 형성되었다고 한다.(3)
소래못 주변에는 소래못안 마을이 있으며 소래못이 형성될 때 못 안은 야산이었고, 골짜기는 논과 밭이었지만 대구시가 확장되면서 소래못안에 30여호, 50여호 자연 부락이 신천 1동 산언덕 동편에 형성되어 점차 마을이 커지게 되었다. 해방 후에는 100여호가 이곳에 살았으며, 도시계획으로 도로변 주위의 가건물이 철거되되면서 그 주민들이 못안으로 많이 이주하였고, 6.25 전쟁으로 피난민이 몰리면서 마을은 더욱 커지게 되었다.(4)
소래못과 관련하여 개발자가 미처 알지 못하였던 사실이나 기록이 있을 경우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3)(4) 관련 게시물: 대구이야기: 지명유래-동구-소래못안
(2) 관련 기사: MBC네거리 일대는 원래 ‘한골못’…‘연화지’ 는 정확한 위치 몰라 (yeongnam.com)

형태 | 자연 호수로 추정 |
면적 | 16,500㎡(1960년대 매립 이전) |
위치 | 대구광역시 동구 신천4동, 수성구 범어1동 일대 |
유입/유출 | 이름미상의 하천 - 한골못(유입) 한골못 - 이름미상의 하천 - 금호강(유출) |
매립 구간 | 전 구간 매립 |
매립 년도 | 1960년대(전 구간 매립) |
한골못은 대구광역시 동구 신천4동, 수성구 범어1동 일대, 현재의 MBC네거리 일대와 그 주변에 위치하였던 자연 호수로 추정되는 못으로 면적은 16,500㎡ 정도였고 1960년대에 모두 매립되어 사라지게 되었다. 그렇지만, 지금도 과거 한골못이었던 곳인 동부로30길 서쪽 호텔 밀집지역에 \\\'한골\\\' 이라는 상호를 사용하는 칼국수집이 존재하고 있다. (1) 주소와 설명 바로가기 (또한. 못의 동쪽인 만촌1동에도 \\\'한골\\\' 이라는 상호를 사용하는 한우 가마솥 국밥집이 있어 언론을 타고 유명해졌지만 결국 2014년 이후로 폐업하여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2)
한골못은 한자로는 대곡(大谷) 이라고도 불리며 못 이름의 유래는 골짜기에 둘러싸인 큰 못이라는 뜻에서 한골못이라고 불러졌다.
또한. 이 못은 동대구역을 지나서 동구청 ~ 대구관광고 ~신암선열공원 쪽으로 이어지는 커다란 골짜기를 이루고 있었으며 이 골을 한골(大谷)이라고 불렀기 때문에 이 골짜기의 상류에 위치한 못을 한골못이라고 불였다는 유래도 있다. 또한. 못 주위에는 민가가 없고 골짜기가 험하고 나무가 많고 여우가 살았다 하여 여우골이라고도 불리기도 하였다. (3)
약 50여년 전에는 한골못에 씨알 좋은 붕어들이 곧잘 낚여 낚시꾼들이 많이 찾았던 곳이었다.(4)
한골못은 1960년대에 모두 매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구체적인 매립년도는 관련 자료가 충분하지 못하여 정확하게 알기 어렵다는 점이 있다.
한골못과 관련하여 개발자가 미처 알지 못하였던 사실이나 기록이 있을 경우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 식당의 상호는 \\\'한골 칼국수\\\' 이고 주소는 대구 동구 동부로30길 79(호텔밀집지역 건너편) 이다. 전화번호: 053-753-3544 주소와 설명 바로가기
(2) 하지만, 2014년에 지역신문 언론기사까지 나오게 되면서 화제의 식당으로 자리잡았던 \\\'한골한우가마솥국밥\\\' 이라는 식당은 이곳의 로드뷰를 확인해본 결과 폐업한 후 2016년 2월에는 건물이 철거되었고 2017년 12월부터 현재까지는 새로운 건물이 들어선 후 유지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지금도 존재하는 새로운 건물에는 삭당 자체가 없고, 1층에는 파스구찌(커피전문점), 1층과 2층에는 하이마트, 3층에는 맑은두대현한의원, 4층에는 SG스크린골프 만촌점이 들어선 것으로 확인되었다.
(2)(4) 관련 기사: [정영진의 대구이야기](48.끝)\'수변\'이 좋았던 대구 : 네이버 뉴스 (naver.com)
(3) 관련 게시물: 대구이야기: 지명유래-동구-한골

형태 | 인공 호수로 추정 |
면적 | 약 12,500㎡ 정도(1970년대 중반 매립 이전) |
위치 |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1동, 범어4동 일대 |
유입/유출 | 범어천 만촌방향 지류 - 범어못(유입) 범어못 - 범어천 지류와 본류 - 신천(유출) |
매립 구간 | 전 구간 매립 |
매립 년도 | 1970년대 중반(전 구간 매립) |
범어못(泛魚못)은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1동, 범어4동 일대, 현재의 수성구청, 수성경찰서, 대구여고 일대와 그 주변지역에 위치하였던 인공 호수인 못으로 면적은 12,500㎡ 정도였고 1970년대 중반에 모두 매립되어 사라지게 되었다.
또한. 범어못으로 들어오는 물줄기는 두리봉 쪽에서 발원하여 대륜고 앞과 만촌동 일대를 거쳐 온 물줄기이고, 범어못에서 나온 물줄기는 범어천 지류와 본류를 통하여 신천으로 유입된다.
못 이름의 유래는 범어동의 유래와도 같으며 옛날 이 마을을 일구던 당시 이 산의 형세가 마치 붕어가 입을 벌리고 산아래에 흐르는 범어천(泛魚川)에 떠있는 모습과 같다고 하며 이 마을의 이름을 \\\'뜰 범((泛)\\\'자와 \\\'고기 어 (魚)\\\' 자를 합하여 \\\'범어동(泛魚洞)\\\' 이라고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1)
현재 범어네거리를 기준으로 서북쪽 법원 맞은편 일대의 범어동은 골짜기였고, 지금의 신천과 맞닿은 범어천의 물길과 일치하며, 이곳은 야시골로 불리기도 하였다. 여우가 자주 출몰해서 이러한 이름이 붙혀졌다. 그리고 현재 범어배수지 동편의 대동교회 뒤쪽도 골짜기였고, 밤밭이 많아 밤골로 불렸다. (2)
또한. 범어못에서는 과거 여름에는 멱도 감았고, 아이들과 함께 썰매를 타는 장소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3)
(1)(3) 관련 기사: 고려 때 축조된 ‘대불지’에서 불상·가시연꽃·토막시신·기형물고기 발견 (yeongnam.com)
(2) 관련 게시물: 대구이야기: 지명유래-수성구-범어동

형태 | 호수형태를 판정하기 어려움 |
면적 | 약 9,900평 정도(1970년대 매립 이전) |
위치 |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1동 일대 |
유입/유출 | 이름미상의 하천 - 소못(유입) 소못 - 이름미상의 하천 - 금호강(유출) |
매립 구간 | 전 구간 매립 |
매립 년도 | 1970년대(전 구간 매립) |
소못(-효목못{(孝睦못})은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1동 일대, 현재의 수성도서관과 효목공원 일대에 위치하였던 못의 형태를 정확하게 판정하기 어려운 못으로 면적은 약 약 9,900평 정도이고, 이 못은 농수산부(현재 농림축산식품부) 소유였으며, 1970년대에 모두 매립되어 현재는 이 일대에 수성도서관과 효목공원이 들어서게 되었다.
1918년에 발행된 대구지형도에는 소못 또는 효목못이 보이며, 이 못에서 효목동과 만촌동 일대의 논밭에 농업용수를 공급하였다.
소못의 형태에 대하여는 옛날 효목동, 만촌동 일대의 논밭에 농업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축조한 못이라는 이야기와 원래부터 이 곳에 작은 못이 있었다는 이야기가 있었는데 이러한 설 중 어느 하나가 맞는지는 지금도 이를 판정하기 어려우므로 소못의 형태는 정확하게 판정하기 어렵다.
또한. 이 못이 위치한 곳의 주변 지역인 효목동은 과거 ‘소못골’ 또는 ‘소못곡(谷)’으로 불렸으며, 효목동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과거 조선 숙종이 소못골에 세거한 동래정씨 정종악의 호인 효목을 따 마을이름을 효목(孝睦)으로 하게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소못과 관련하여 개발자가 미처 알지 못하였던 사실이나 기록이 있을 경우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2) 관련 기사 및 게시물: MBC네거리 일대는 원래 ‘한골못’…‘연화지’ 는 정확한 위치 몰라 (yeongnam.com), 대구이야기: 지명유래-수성구-효목못, 지명유래-동구-효목동

형태 | 인공 호수로 추정 |
면적 | 약 **평 정도(1970년대 매립 이전) |
위치 |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1동 일대 |
유입/유출 | 범어천의 지류 - 윗못(유입) 윗못 - 범어천(지류와 본류) - 신천(유출) |
매립 구간 | 전 구간 매립 |
매립 년도 | 1970년대(전 구간 매립) |
윗못(-지산저수지{池山貯水地}-둔동제{屯洞堤})은 대구광역시 수성구 지산동 일대, 현재의 녹원맨션 자리에 있었던 인공 호수로 추정되는 못으로 둔동제(屯洞堤) 또는 지산저수지(池山貯水地) 라고 불리기도 하였으며, 1970년대에 모두 매립되어 사라진 못이다. (1)
또한. 윗못은 인공 호수로 추정되는 못임에도 불구하고 조선시대부터 존재하였던 꽤 역사가 오래된 대구의 못 중에 하나이다.
윗못의 명칭 유래와 관련 역사 및 자료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밝혀진 내용이 거의 없지만 조선시대부터 존재했던 \\\'둔동제\\\'를 일제강점기에 증축한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던 ‘둔동제 증축설’이 사실이 아닌 것이 확인되었으며, 그 이유는 국토지리정보원의 사료 고찰을 통하여 둔동제의 위치가 범어천 줄기인 수동(현재 지산동 녹원맨션 자리)으로 밝혀져 지금의 수성못이 아님이 입증되었기 때문이다. (2)
(참고로. 일제시대에 미즈사키 린타로(水崎林太郞)가 대구지역 조선인 유지 4명과 함께 수성수리조합을 설립하고 기존의 자연 호수를 대규모로 증축한 역사가 있었던 곳은 조선시대에 \\\'문동제\\\' 라고 불렸던 수성못이다.) (3)
윗못과 관련하여 개발자가 미처 알지 못하였던 사실이나 기록이 있을 경우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1)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 \\\'구지도 통판서비스\\\'의 지산동 녹원맨션 일대의 1960년대 지도를 보면 두산동(斗山洞) 이라는 한자표시 위에 \\\'윗못\\\' 이라고 표시된 커다란 호수가 보이는 것으로 보아 아마도 둔동제가 \\\'윗못\\\' 이라고도 불렸다고 볼 수 있다.
\\\'윗못\\\' 이라고 표시된 호수가 보이는 지도 이미지(출처: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 \\\'구지도 통판서비스\\\')
(2)(3) 관련 기사 : 수성못, 역사와 문화 스토리를 품다 - 뉴스웨이 (newsway.co.kr), \\\'빼앗긴 들\\\'을 바라보는 일본인 농민의 무덤 : 네이버 뉴스 (naver.com)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서비스는 국내 최초로 복개 하천, 사라진 못⋅호수⋅습지⋅샘 등 지금 사라진 물줄기들과 관련 기록⋅이야기들을 알기 쉽게 지도 형태로 표시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또한.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서비스의 운영자는 국토⋅환경⋅역사분야의 공식적인 기관도 아니고, 그 분야의 전문가나 공무원 또는 관련 직업 종사자도 아니며, 그 분야의 대학(원) 학과를 전공한 전공자도 아닙니다. 단지. 운영자는 지리와 수질환경,한국근현대사 분야에 관심이 풍부한 일반 국민으로 제 2의 그레타 툰베리를 꿈꾸며 개발 등으로 복개,매립되어 사라지게 된 복개하천, 못, 습지 등의 여러 물흐름을 발굴하여 이를 복원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사회적인 여론과 관심을 고조시킬 목적으로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인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서비스를 만든 것입니다. 이렇게 운영자가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를 정성껏 만든 것에 우리 모두 고마움을 느끼고 좋은 목적으로 활용하시기를 바라며, 앞으로 지구온난화를 비롯한 기후위기 등으로 환경분야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더 커질 수 있어 서비스를 더욱 더 소중하게 여기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
누구든지 개발 등으로 복개되거나 매립되는 등으로 사라지게 된 물길(강, 하천, 못, 호수, 습지, 늪, 샘 등)을 알고 있다면 이를 제보해주세요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서비스는 운영자가 인터넷 검색, 관련 서적 참고, 현장 답사 등을 통하여 직접 찾아낸 물길들을 다루면서 시작되었지만 남녀노소 누구든지 수평적인 관계로 참여할 수 있는 플랫폼이므로 사라진 물길에 대하여 자세히 알고 있거나 사라진 물길에 대한 이야기나 기록(문서, 사진, 영상, 지도 등)들을 보유하고 있는 분들은 언제든지 이를 제보하실 수 있습니다. 제보하신 내용은 운영자의 심사를 거쳐 서비스에 직접 반영되며, 제보한 내용이 정식으로 채택되신 경우 이를 제보하신 분에게 제보 내용의 진정성, 중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소 1천 6백원 ~ 최대 11만원 까지의 한도에서 포상금을 드립니다. 제보 페이지 바로가기 또는 운영자 메일(gunjae1218@naver.com)로 제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