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서비스는 국내에서 개발 등으로 복개되거나 사라진 복개하천, 사라진 하천, 호수, 못, 습지, 늪, 갯벌, 샘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알기 쉽게 지도로 표시하고, 그 물길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기록하여 제공하는 국내 최초의 서비스입니다. 이렇게 개발 등으로 사라진 물흐름을 발굴하여 복원으로 이어지도록 하려고 정성껏 개발한 서비스에 우리 모두 고마움을 느끼기 바랍니다. ○ 현재 서울과 5대 광역시 지역의 물길이 기록되어 있으며, 수도권, 세종지역과 시 지역의 물길은 2022년 6월까지 기록할 예정입니다. |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 등의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가 지금 개최됩니다.
국내 최초로 사라진 물길을 기록한 지도인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에서 정식 서비스 시작을 기념하여 국내 최초로 사라진 물길을 기록하고, 이에 대한 각자의 참신한 복원 방안을 찾고자 국내 최초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경진대회인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이번에 개최하는 경진대회는 1탄: 사라진 물길 기록을 위한 공모전,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 3탄-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및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대회로 구분하여 개최돠며 경진대회 참여를 원하거나 경진대회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려고 한다면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에 접속해주시기 바랍니다. |
지도에 표시된 아이콘과 3가지 색깔별로 표시된 물줄기들은 각각의 기호별로 아래와 같은 물길의 종류를 나타냅니다. | |||||||||
![]() |
![]() |
![]() |
![]() |
![]() |
![]() |
![]() |
![]() |
![]() |
![]() |
발원지 | 합수점 | 분수(分水)점 | 복개 시작점 | 복개 종료점 | 자연 호수 | 인공 호수 | 형태 미상 호수 | 습지 | 샘 |
![]() |
![]() |
![]() |
![]() |
![]() |
기록이나 흔적이 명확한 물길 | 기록이나 흔적이 약간 불명확한 물길 | 기록이나 흔적이 매우 불명확한 물길 | 폐천(박스) 또는 예전에 흘렀던 적이 있었던 물길 | 과거에 복개되었다가 지금은 다시 복원되어 흐르는 물길 |

○산남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3.59km |
발원지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산남동 구룡산 밑쪽 계곡 발원지 |
하구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분평동 주공2단지 아파트 옆 합수점(미평천) |
복개 구간 | 유승한내들 아파트 옆쪽 ~ 샛별초 옆 |
복개 년도 | 충북고등학교 옆쪽 (1970년대 복개로 추정) 그 밖의 복개 구간 (1990년대 후반 복개로 추정) |
1. 개요
산남천(山南川)은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산남동 구룡산 밑쪽 계곡 발원지에서 발원하여 가좌교 옆 ~ 양촌JC 앞 ~ 양촌노교 앞 ~ 2순환로 통과부분 앞 ~ 신남천 합류점 ~ 전자랜드 파워센터 건너편 복개 시작점 ~ 안뜸공원 옆 ~ 남평초 옆을 거쳐 분평동 샛별초 옆에서 미평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3.59km 정도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유승한내들 아파트 옆쪽 ~ 샛별초 옆 (약 1.5Km 정도)과 충북교육청 옆쪽 ~ 주공2단지 아파트 옆 (약 1.2Km 정도)까지의 구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각각충북고등학교 옆쪽 (1970년대 복개로 추정), 그 밖의 복개 구간 (1990년대 후반 복개로 추정)으로 추정된다.
3. 역사
현재 산남천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자세히 밝혀진 것이 거의 드물어 이를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점이 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산남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산남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3.59km |
발원지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산남동 구룡산 밑쪽 계곡 발원지 |
하구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분평동 주공2단지 아파트 옆 합수점(미평천) |
복개 구간 | 유승한내들 아파트 옆쪽 ~ 샛별초 옆 |
복개 년도 | 충북고등학교 옆쪽 (1970년대 복개로 추정) 그 밖의 복개 구간 (1990년대 후반 복개로 추정) |
1. 개요
산남천(山南川)은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산남동 구룡산 밑쪽 계곡 발원지에서 발원하여 가좌교 옆 ~ 양촌JC 앞 ~ 양촌노교 앞 ~ 2순환로 통과부분 앞 ~ 신남천 합류점 ~ 전자랜드 파워센터 건너편 복개 시작점 ~ 안뜸공원 옆 ~ 남평초 옆을 거쳐 분평동 샛별초 옆에서 미평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3.59km 정도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유승한내들 아파트 옆쪽 ~ 샛별초 옆 (약 1.5Km 정도)과 충북교육청 옆쪽 ~ 주공2단지 아파트 옆 (약 1.2Km 정도)까지의 구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각각충북고등학교 옆쪽 (1970년대 복개로 추정), 그 밖의 복개 구간 (1990년대 후반 복개로 추정)으로 추정된다.
3. 역사
현재 산남천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자세히 밝혀진 것이 거의 드물어 이를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점이 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산남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산남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3.59km |
발원지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산남동 구룡산 밑쪽 계곡 발원지 |
하구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분평동 주공2단지 아파트 옆 합수점(미평천) |
복개 구간 | 유승한내들 아파트 옆쪽 ~ 샛별초 옆 |
복개 년도 | 충북고등학교 옆쪽 (1970년대 복개로 추정) 그 밖의 복개 구간 (1990년대 후반 복개로 추정) |
1. 개요
산남천(山南川)은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산남동 구룡산 밑쪽 계곡 발원지에서 발원하여 가좌교 옆 ~ 양촌JC 앞 ~ 양촌노교 앞 ~ 2순환로 통과부분 앞 ~ 신남천 합류점 ~ 전자랜드 파워센터 건너편 복개 시작점 ~ 안뜸공원 옆 ~ 남평초 옆을 거쳐 분평동 샛별초 옆에서 미평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3.59km 정도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유승한내들 아파트 옆쪽 ~ 샛별초 옆 (약 1.5Km 정도)과 충북교육청 옆쪽 ~ 주공2단지 아파트 옆 (약 1.2Km 정도)까지의 구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각각충북고등학교 옆쪽 (1970년대 복개로 추정), 그 밖의 복개 구간 (1990년대 후반 복개로 추정)으로 추정된다.
3. 역사
현재 산남천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자세히 밝혀진 것이 거의 드물어 이를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점이 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산남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산남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3.59km |
발원지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산남동 구룡산 밑쪽 계곡 발원지 |
하구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분평동 주공2단지 아파트 옆 합수점(미평천) |
복개 구간 | 유승한내들 아파트 옆쪽 ~ 샛별초 옆 |
복개 년도 | 충북고등학교 옆쪽 (1970년대 복개로 추정) 그 밖의 복개 구간 (1990년대 후반 복개로 추정) |
1. 개요
산남천(山南川)은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산남동 구룡산 밑쪽 계곡 발원지에서 발원하여 가좌교 옆 ~ 양촌JC 앞 ~ 양촌노교 앞 ~ 2순환로 통과부분 앞 ~ 신남천 합류점 ~ 전자랜드 파워센터 건너편 복개 시작점 ~ 안뜸공원 옆 ~ 남평초 옆을 거쳐 분평동 샛별초 옆에서 미평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3.59km 정도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유승한내들 아파트 옆쪽 ~ 샛별초 옆 (약 1.5Km 정도)과 충북교육청 옆쪽 ~ 주공2단지 아파트 옆 (약 1.2Km 정도)까지의 구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각각충북고등학교 옆쪽 (1970년대 복개로 추정), 그 밖의 복개 구간 (1990년대 후반 복개로 추정)으로 추정된다.
3. 역사
현재 산남천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자세히 밝혀진 것이 거의 드물어 이를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점이 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산남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미평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8.2km |
발원지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가좌리 카페비아 뒤쪽 발원지 |
하구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분평동 청주살림교회 옆의 합수점(무심천) |
복개 구간 | 양촌JC 통과 구간의 복개 부분 |
복개 년도 | 1990년대 후반 복개로 추정 |
1. 개요
미평천(米坪川)은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가좌리 카페비아 뒤쪽 발원지에서 발원하여 가좌교 옆 ~ 양촌JC 앞 ~ 양촌노교 앞 ~ 2순환로 통과부분 앞 ~ 신남천 합류점 ~ 전자랜드 파워센터 건너편 복개 시작점 ~ 안뜸공원 옆 ~ 남평초 옆을 거쳐 분평동 청주살림교회 옆에서 무심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8.2km 정도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양촌JC 통과 구간의 복개 부분 (약 560m 정도)과 전자랜드 파워센터 건너편 ~ 청주살림교회 옆 (약 1.1Km 정도)까지의 구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1990년대 후반으로 추정된다.
3. 역사
현재 미평천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자세히 밝혀진 것이 거의 드물어 이를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점이 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미평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미평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8.2km |
발원지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가좌리 카페비아 뒤쪽 발원지 |
하구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분평동 청주살림교회 옆의 합수점(무심천) |
복개 구간 | 양촌JC 통과 구간의 복개 부분 |
복개 년도 | 1990년대 후반 복개로 추정 |
1. 개요
미평천(米坪川)은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가좌리 카페비아 뒤쪽 발원지에서 발원하여 가좌교 옆 ~ 양촌JC 앞 ~ 양촌노교 앞 ~ 2순환로 통과부분 앞 ~ 신남천 합류점 ~ 전자랜드 파워센터 건너편 복개 시작점 ~ 안뜸공원 옆 ~ 남평초 옆을 거쳐 분평동 청주살림교회 옆에서 무심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8.2km 정도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양촌JC 통과 구간의 복개 부분 (약 560m 정도)과 전자랜드 파워센터 건너편 ~ 청주살림교회 옆 (약 1.1Km 정도)까지의 구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1990년대 후반으로 추정된다.
3. 역사
현재 미평천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자세히 밝혀진 것이 거의 드물어 이를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점이 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미평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미평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8.2km |
발원지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가좌리 카페비아 뒤쪽 발원지 |
하구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분평동 청주살림교회 옆의 합수점(무심천) |
복개 구간 | 양촌JC 통과 구간의 복개 부분 |
복개 년도 | 1990년대 후반 복개로 추정 |
1. 개요
미평천(米坪川)은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가좌리 카페비아 뒤쪽 발원지에서 발원하여 가좌교 옆 ~ 양촌JC 앞 ~ 양촌노교 앞 ~ 2순환로 통과부분 앞 ~ 신남천 합류점 ~ 전자랜드 파워센터 건너편 복개 시작점 ~ 안뜸공원 옆 ~ 남평초 옆을 거쳐 분평동 청주살림교회 옆에서 무심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8.2km 정도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양촌JC 통과 구간의 복개 부분 (약 560m 정도)과 전자랜드 파워센터 건너편 ~ 청주살림교회 옆 (약 1.1Km 정도)까지의 구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1990년대 후반으로 추정된다.
3. 역사
현재 미평천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자세히 밝혀진 것이 거의 드물어 이를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점이 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미평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미평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8.2km |
발원지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가좌리 카페비아 뒤쪽 발원지 |
하구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분평동 청주살림교회 옆의 합수점(무심천) |
복개 구간 | 양촌JC 통과 구간의 복개 부분 |
복개 년도 | 1990년대 후반 복개로 추정 |
1. 개요
미평천(米坪川)은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가좌리 카페비아 뒤쪽 발원지에서 발원하여 가좌교 옆 ~ 양촌JC 앞 ~ 양촌노교 앞 ~ 2순환로 통과부분 앞 ~ 신남천 합류점 ~ 전자랜드 파워센터 건너편 복개 시작점 ~ 안뜸공원 옆 ~ 남평초 옆을 거쳐 분평동 청주살림교회 옆에서 무심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8.2km 정도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양촌JC 통과 구간의 복개 부분 (약 560m 정도)과 전자랜드 파워센터 건너편 ~ 청주살림교회 옆 (약 1.1Km 정도)까지의 구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1990년대 후반으로 추정된다.
3. 역사
현재 미평천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자세히 밝혀진 것이 거의 드물어 이를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점이 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미평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덕적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3.33km |
발원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서학동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하구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삼천동 용흥중학교 뒤쪽의 건너편 합수점(삼천) |
복개 구간 |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월드자원 옆 |
복개 년도 | 1990년대 후반 복개로 추정 |
1. 개요
덕적천(德積川)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서학동 삼우아파트 옆쪽에서 발원하여 평화주공 3단지 아파트 옆 ~ 롯데시네마 옆 ~ 새터공원 옆 ~ 월드자원 옆 ~ 진북광장 옆쪽 ~ 전주양지중 옆쪽 ~ 광진산업 모악2차아파트 옆쪽을 거쳐 삼천동 용흥중학교 뒤쪽의 건너편에서 삼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3.33km 정도이다.
또한. 두 번째 지류의 상류쪽에는 과거 주변 농경지에 물을 대는 방죽으로 사용되었던 지사제라는 저수지가 있었지만, 지금은 사실상 그 기능을 잃고 사실상 일반적인 저수지 형태로 전략하게 되었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월드자원 옆 (약 326m 정도)까지의 구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1990년대 후반으로 추정된다.
3. 역사
현재 덕적천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자세히 밝혀진 것이 거의 드물어 이를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점이 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덕적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덕적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3.33km |
발원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서학동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하구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삼천동 용흥중학교 뒤쪽의 건너편 합수점(삼천) |
복개 구간 |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월드자원 옆 |
복개 년도 | 1990년대 후반 복개로 추정 |
1. 개요
덕적천(德積川)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서학동 삼우아파트 옆쪽에서 발원하여 평화주공 3단지 아파트 옆 ~ 롯데시네마 옆 ~ 새터공원 옆 ~ 월드자원 옆 ~ 진북광장 옆쪽 ~ 전주양지중 옆쪽 ~ 광진산업 모악2차아파트 옆쪽을 거쳐 삼천동 용흥중학교 뒤쪽의 건너편에서 삼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3.33km 정도이다.
또한. 두 번째 지류의 상류쪽에는 과거 주변 농경지에 물을 대는 방죽으로 사용되었던 지사제라는 저수지가 있었지만, 지금은 사실상 그 기능을 잃고 사실상 일반적인 저수지 형태로 전략하게 되었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월드자원 옆 (약 326m 정도)까지의 구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1990년대 후반으로 추정된다.
3. 역사
현재 덕적천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자세히 밝혀진 것이 거의 드물어 이를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점이 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덕적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덕적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3.33km |
발원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서학동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하구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삼천동 용흥중학교 뒤쪽의 건너편 합수점(삼천) |
복개 구간 |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월드자원 옆 |
복개 년도 | 1990년대 후반 복개로 추정 |
1. 개요
덕적천(德積川)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서학동 삼우아파트 옆쪽에서 발원하여 평화주공 3단지 아파트 옆 ~ 롯데시네마 옆 ~ 새터공원 옆 ~ 월드자원 옆 ~ 진북광장 옆쪽 ~ 전주양지중 옆쪽 ~ 광진산업 모악2차아파트 옆쪽을 거쳐 삼천동 용흥중학교 뒤쪽의 건너편에서 삼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3.33km 정도이다.
또한. 두 번째 지류의 상류쪽에는 과거 주변 농경지에 물을 대는 방죽으로 사용되었던 지사제라는 저수지가 있었지만, 지금은 사실상 그 기능을 잃고 사실상 일반적인 저수지 형태로 전략하게 되었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월드자원 옆 (약 326m 정도)까지의 구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1990년대 후반으로 추정된다.
3. 역사
현재 덕적천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자세히 밝혀진 것이 거의 드물어 이를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점이 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덕적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덕적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3.33km |
발원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서학동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하구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삼천동 용흥중학교 뒤쪽의 건너편 합수점(삼천) |
복개 구간 |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월드자원 옆 |
복개 년도 | 1990년대 후반 복개로 추정 |
1. 개요
덕적천(德積川)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서학동 삼우아파트 옆쪽에서 발원하여 평화주공 3단지 아파트 옆 ~ 롯데시네마 옆 ~ 새터공원 옆 ~ 월드자원 옆 ~ 진북광장 옆쪽 ~ 전주양지중 옆쪽 ~ 광진산업 모악2차아파트 옆쪽을 거쳐 삼천동 용흥중학교 뒤쪽의 건너편에서 삼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3.33km 정도이다.
또한. 두 번째 지류의 상류쪽에는 과거 주변 농경지에 물을 대는 방죽으로 사용되었던 지사제라는 저수지가 있었지만, 지금은 사실상 그 기능을 잃고 사실상 일반적인 저수지 형태로 전략하게 되었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월드자원 옆 (약 326m 정도)까지의 구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1990년대 후반으로 추정된다.
3. 역사
현재 덕적천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자세히 밝혀진 것이 거의 드물어 이를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점이 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덕적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덕적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3.33km |
발원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서학동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하구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삼천동 용흥중학교 뒤쪽의 건너편 합수점(삼천) |
복개 구간 |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월드자원 옆 |
복개 년도 | 1990년대 후반 복개로 추정 |
1. 개요
덕적천(德積川)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서학동 삼우아파트 옆쪽에서 발원하여 평화주공 3단지 아파트 옆 ~ 롯데시네마 옆 ~ 새터공원 옆 ~ 월드자원 옆 ~ 진북광장 옆쪽 ~ 전주양지중 옆쪽 ~ 광진산업 모악2차아파트 옆쪽을 거쳐 삼천동 용흥중학교 뒤쪽의 건너편에서 삼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3.33km 정도이다.
또한. 두 번째 지류의 상류쪽에는 과거 주변 농경지에 물을 대는 방죽으로 사용되었던 지사제라는 저수지가 있었지만, 지금은 사실상 그 기능을 잃고 사실상 일반적인 저수지 형태로 전략하게 되었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월드자원 옆 (약 326m 정도)까지의 구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1990년대 후반으로 추정된다.
3. 역사
현재 덕적천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자세히 밝혀진 것이 거의 드물어 이를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점이 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덕적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덕적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3.33km |
발원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서학동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하구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삼천동 용흥중학교 뒤쪽의 건너편 합수점(삼천) |
복개 구간 |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월드자원 옆 |
복개 년도 | 1990년대 후반 복개로 추정 |
1. 개요
덕적천(德積川)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서학동 삼우아파트 옆쪽에서 발원하여 평화주공 3단지 아파트 옆 ~ 롯데시네마 옆 ~ 새터공원 옆 ~ 월드자원 옆 ~ 진북광장 옆쪽 ~ 전주양지중 옆쪽 ~ 광진산업 모악2차아파트 옆쪽을 거쳐 삼천동 용흥중학교 뒤쪽의 건너편에서 삼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3.33km 정도이다.
또한. 두 번째 지류의 상류쪽에는 과거 주변 농경지에 물을 대는 방죽으로 사용되었던 지사제라는 저수지가 있었지만, 지금은 사실상 그 기능을 잃고 사실상 일반적인 저수지 형태로 전략하게 되었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월드자원 옆 (약 326m 정도)까지의 구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1990년대 후반으로 추정된다.
3. 역사
현재 덕적천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자세히 밝혀진 것이 거의 드물어 이를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점이 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덕적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덕적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3.33km |
발원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서학동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하구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삼천동 용흥중학교 뒤쪽의 건너편 합수점(삼천) |
복개 구간 |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월드자원 옆 |
복개 년도 | 1990년대 후반 복개로 추정 |
1. 개요
덕적천(德積川)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서학동 삼우아파트 옆쪽에서 발원하여 평화주공 3단지 아파트 옆 ~ 롯데시네마 옆 ~ 새터공원 옆 ~ 월드자원 옆 ~ 진북광장 옆쪽 ~ 전주양지중 옆쪽 ~ 광진산업 모악2차아파트 옆쪽을 거쳐 삼천동 용흥중학교 뒤쪽의 건너편에서 삼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3.33km 정도이다.
또한. 두 번째 지류의 상류쪽에는 과거 주변 농경지에 물을 대는 방죽으로 사용되었던 지사제라는 저수지가 있었지만, 지금은 사실상 그 기능을 잃고 사실상 일반적인 저수지 형태로 전략하게 되었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월드자원 옆 (약 326m 정도)까지의 구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1990년대 후반으로 추정된다.
3. 역사
현재 덕적천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자세히 밝혀진 것이 거의 드물어 이를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점이 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덕적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덕적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3.33km |
발원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서학동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하구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삼천동 용흥중학교 뒤쪽의 건너편 합수점(삼천) |
복개 구간 |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월드자원 옆 |
복개 년도 | 1990년대 후반 복개로 추정 |
1. 개요
덕적천(德積川)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서학동 삼우아파트 옆쪽에서 발원하여 평화주공 3단지 아파트 옆 ~ 롯데시네마 옆 ~ 새터공원 옆 ~ 월드자원 옆 ~ 진북광장 옆쪽 ~ 전주양지중 옆쪽 ~ 광진산업 모악2차아파트 옆쪽을 거쳐 삼천동 용흥중학교 뒤쪽의 건너편에서 삼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3.33km 정도이다.
또한. 두 번째 지류의 상류쪽에는 과거 주변 농경지에 물을 대는 방죽으로 사용되었던 지사제라는 저수지가 있었지만, 지금은 사실상 그 기능을 잃고 사실상 일반적인 저수지 형태로 전략하게 되었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월드자원 옆 (약 326m 정도)까지의 구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1990년대 후반으로 추정된다.
3. 역사
현재 덕적천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자세히 밝혀진 것이 거의 드물어 이를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점이 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덕적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덕적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3.33km |
발원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서학동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하구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삼천동 용흥중학교 뒤쪽의 건너편 합수점(삼천) |
복개 구간 |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월드자원 옆 |
복개 년도 | 1990년대 후반 복개로 추정 |
1. 개요
덕적천(德積川)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서학동 삼우아파트 옆쪽에서 발원하여 평화주공 3단지 아파트 옆 ~ 롯데시네마 옆 ~ 새터공원 옆 ~ 월드자원 옆 ~ 진북광장 옆쪽 ~ 전주양지중 옆쪽 ~ 광진산업 모악2차아파트 옆쪽을 거쳐 삼천동 용흥중학교 뒤쪽의 건너편에서 삼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3.33km 정도이다.
또한. 두 번째 지류의 상류쪽에는 과거 주변 농경지에 물을 대는 방죽으로 사용되었던 지사제라는 저수지가 있었지만, 지금은 사실상 그 기능을 잃고 사실상 일반적인 저수지 형태로 전략하게 되었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월드자원 옆 (약 326m 정도)까지의 구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1990년대 후반으로 추정된다.
3. 역사
현재 덕적천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자세히 밝혀진 것이 거의 드물어 이를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점이 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덕적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덕적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3.33km |
발원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서학동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하구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삼천동 용흥중학교 뒤쪽의 건너편 합수점(삼천) |
복개 구간 |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월드자원 옆 |
복개 년도 | 1990년대 후반 복개로 추정 |
1. 개요
덕적천(德積川)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서학동 삼우아파트 옆쪽에서 발원하여 평화주공 3단지 아파트 옆 ~ 롯데시네마 옆 ~ 새터공원 옆 ~ 월드자원 옆 ~ 진북광장 옆쪽 ~ 전주양지중 옆쪽 ~ 광진산업 모악2차아파트 옆쪽을 거쳐 삼천동 용흥중학교 뒤쪽의 건너편에서 삼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3.33km 정도이다.
또한. 두 번째 지류의 상류쪽에는 과거 주변 농경지에 물을 대는 방죽으로 사용되었던 지사제라는 저수지가 있었지만, 지금은 사실상 그 기능을 잃고 사실상 일반적인 저수지 형태로 전략하게 되었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월드자원 옆 (약 326m 정도)까지의 구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1990년대 후반으로 추정된다.
3. 역사
현재 덕적천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자세히 밝혀진 것이 거의 드물어 이를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점이 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덕적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덕적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3.33km |
발원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서학동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하구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삼천동 용흥중학교 뒤쪽의 건너편 합수점(삼천) |
복개 구간 |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월드자원 옆 |
복개 년도 | 1990년대 후반 복개로 추정 |
1. 개요
덕적천(德積川)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서학동 삼우아파트 옆쪽에서 발원하여 평화주공 3단지 아파트 옆 ~ 롯데시네마 옆 ~ 새터공원 옆 ~ 월드자원 옆 ~ 진북광장 옆쪽 ~ 전주양지중 옆쪽 ~ 광진산업 모악2차아파트 옆쪽을 거쳐 삼천동 용흥중학교 뒤쪽의 건너편에서 삼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3.33km 정도이다.
또한. 두 번째 지류의 상류쪽에는 과거 주변 농경지에 물을 대는 방죽으로 사용되었던 지사제라는 저수지가 있었지만, 지금은 사실상 그 기능을 잃고 사실상 일반적인 저수지 형태로 전략하게 되었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삼우아파트 옆쪽 발원지 ~ 월드자원 옆 (약 326m 정도)까지의 구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1990년대 후반으로 추정된다.
3. 역사
현재 덕적천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자세히 밝혀진 것이 거의 드물어 이를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점이 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덕적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노송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4.45km |
발원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승암산 뒤쪽 발원지 |
하구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진북동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건산천) |
복개 구간 |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 |
복개 년도 |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1964년) 세이브존 뒤쪽 ~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진북광장 옆쪽 ~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2017년 복원) * 취소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현재 복원되어 물이 흐르는 모습이 보이는 구간임 |
1. 개요
노송천(老松川)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승암산 뒤쪽에서 발원하여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복개 시작점 ~ 전주가톨릭사회복지회 옆쪽 ~ 전주동부시장 옆쪽 ~ 전주시청 옆쪽 ~ 세이브존 뒤쪽 ~ 진북광장 옆쪽을 거쳐 덕진구 진북동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에서 전주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4.45km 정도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 (약 253m 정도),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세이브존 뒤쪽 (약 2.09km 정도),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 진북광장 옆쪽 (약 210m 정도),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약 326m 정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각각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까지의 구간은 1964년에 복개되었고, (1)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은 언제 복개되었는지 정확한 복개 시점을 알 수 없다.
또한. 숲정이 다리 ~ 진덕교 구간은 1996년에 복개되었지만, 이 중 복개된 구간 중 세이브존 뒤쪽 ~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진북광장 옆쪽 ~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까지의 구간은 2017년에 복원되어 현재는 물이 흐르고 있다.
3. 역사
노송천은 1964년 산업화에 따라 하천 주변 지역이 도시로 개발되면서 복개되었고, 복개 구조물도 낡게 되면서 1998년에는 재난위험시설 D급 판정을 받아 철거대상으로 지목되기도 하였다. (2)
그 후. 노송천은 1964년 산업화에 2007년에 생태하천 복원 계획이 수립되어 그 해 4월 말까지 철거공사를 마쳤고, 마침내 2017년까지 기존에 복개되었던 일부 구간이 생태하천으로 복원되었다.(3)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노송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관련 기사: ‘전주의 청계천’ 노송천, 친환경 생태하천 변신 (naver.com)
(2) 관련 기사: 전주노송천, 복개 43년만에 생태하천 복원 착수 (naver.com)
(3) 관련 기사: 생태하천으로 복원된 전주 노송천…19일 준공 (naver.com)

○노송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4.45km |
발원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승암산 뒤쪽 발원지 |
하구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진북동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건산천) |
복개 구간 |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 |
복개 년도 |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1964년) 세이브존 뒤쪽 ~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진북광장 옆쪽 ~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2017년 복원) * 취소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현재 복원되어 물이 흐르는 모습이 보이는 구간임 |
1. 개요
노송천(老松川)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승암산 뒤쪽에서 발원하여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복개 시작점 ~ 전주가톨릭사회복지회 옆쪽 ~ 전주동부시장 옆쪽 ~ 전주시청 옆쪽 ~ 세이브존 뒤쪽 ~ 진북광장 옆쪽을 거쳐 덕진구 진북동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에서 전주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4.45km 정도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 (약 253m 정도),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세이브존 뒤쪽 (약 2.09km 정도),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 진북광장 옆쪽 (약 210m 정도),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약 326m 정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각각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까지의 구간은 1964년에 복개되었고, (1)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은 언제 복개되었는지 정확한 복개 시점을 알 수 없다.
또한. 숲정이 다리 ~ 진덕교 구간은 1996년에 복개되었지만, 이 중 복개된 구간 중 세이브존 뒤쪽 ~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진북광장 옆쪽 ~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까지의 구간은 2017년에 복원되어 현재는 물이 흐르고 있다.
3. 역사
노송천은 1964년 산업화에 따라 하천 주변 지역이 도시로 개발되면서 복개되었고, 복개 구조물도 낡게 되면서 1998년에는 재난위험시설 D급 판정을 받아 철거대상으로 지목되기도 하였다. (2)
그 후. 노송천은 1964년 산업화에 2007년에 생태하천 복원 계획이 수립되어 그 해 4월 말까지 철거공사를 마쳤고, 마침내 2017년까지 기존에 복개되었던 일부 구간이 생태하천으로 복원되었다.(3)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노송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관련 기사: ‘전주의 청계천’ 노송천, 친환경 생태하천 변신 (naver.com)
(2) 관련 기사: 전주노송천, 복개 43년만에 생태하천 복원 착수 (naver.com)
(3) 관련 기사: 생태하천으로 복원된 전주 노송천…19일 준공 (naver.com)

○노송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4.45km |
발원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승암산 뒤쪽 발원지 |
하구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진북동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건산천) |
복개 구간 |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 |
복개 년도 |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1964년) 세이브존 뒤쪽 ~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진북광장 옆쪽 ~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2017년 복원) * 취소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현재 복원되어 물이 흐르는 모습이 보이는 구간임 |
1. 개요
노송천(老松川)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승암산 뒤쪽에서 발원하여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복개 시작점 ~ 전주가톨릭사회복지회 옆쪽 ~ 전주동부시장 옆쪽 ~ 전주시청 옆쪽 ~ 세이브존 뒤쪽 ~ 진북광장 옆쪽을 거쳐 덕진구 진북동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에서 전주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4.45km 정도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 (약 253m 정도),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세이브존 뒤쪽 (약 2.09km 정도),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 진북광장 옆쪽 (약 210m 정도),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약 326m 정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각각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까지의 구간은 1964년에 복개되었고, (1)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은 언제 복개되었는지 정확한 복개 시점을 알 수 없다.
또한. 숲정이 다리 ~ 진덕교 구간은 1996년에 복개되었지만, 이 중 복개된 구간 중 세이브존 뒤쪽 ~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진북광장 옆쪽 ~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까지의 구간은 2017년에 복원되어 현재는 물이 흐르고 있다.
3. 역사
노송천은 1964년 산업화에 따라 하천 주변 지역이 도시로 개발되면서 복개되었고, 복개 구조물도 낡게 되면서 1998년에는 재난위험시설 D급 판정을 받아 철거대상으로 지목되기도 하였다. (2)
그 후. 노송천은 1964년 산업화에 2007년에 생태하천 복원 계획이 수립되어 그 해 4월 말까지 철거공사를 마쳤고, 마침내 2017년까지 기존에 복개되었던 일부 구간이 생태하천으로 복원되었다.(3)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노송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관련 기사: ‘전주의 청계천’ 노송천, 친환경 생태하천 변신 (naver.com)
(2) 관련 기사: 전주노송천, 복개 43년만에 생태하천 복원 착수 (naver.com)
(3) 관련 기사: 생태하천으로 복원된 전주 노송천…19일 준공 (naver.com)

○노송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4.45km |
발원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승암산 뒤쪽 발원지 |
하구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진북동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건산천) |
복개 구간 |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 |
복개 년도 |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1964년) 세이브존 뒤쪽 ~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진북광장 옆쪽 ~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2017년 복원) * 취소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현재 복원되어 물이 흐르는 모습이 보이는 구간임 |
1. 개요
노송천(老松川)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승암산 뒤쪽에서 발원하여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복개 시작점 ~ 전주가톨릭사회복지회 옆쪽 ~ 전주동부시장 옆쪽 ~ 전주시청 옆쪽 ~ 세이브존 뒤쪽 ~ 진북광장 옆쪽을 거쳐 덕진구 진북동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에서 전주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4.45km 정도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 (약 253m 정도),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세이브존 뒤쪽 (약 2.09km 정도),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 진북광장 옆쪽 (약 210m 정도),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약 326m 정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각각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까지의 구간은 1964년에 복개되었고, (1)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은 언제 복개되었는지 정확한 복개 시점을 알 수 없다.
또한. 숲정이 다리 ~ 진덕교 구간은 1996년에 복개되었지만, 이 중 복개된 구간 중 세이브존 뒤쪽 ~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진북광장 옆쪽 ~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까지의 구간은 2017년에 복원되어 현재는 물이 흐르고 있다.
3. 역사
노송천은 1964년 산업화에 따라 하천 주변 지역이 도시로 개발되면서 복개되었고, 복개 구조물도 낡게 되면서 1998년에는 재난위험시설 D급 판정을 받아 철거대상으로 지목되기도 하였다. (2)
그 후. 노송천은 1964년 산업화에 2007년에 생태하천 복원 계획이 수립되어 그 해 4월 말까지 철거공사를 마쳤고, 마침내 2017년까지 기존에 복개되었던 일부 구간이 생태하천으로 복원되었다.(3)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노송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관련 기사: ‘전주의 청계천’ 노송천, 친환경 생태하천 변신 (naver.com)
(2) 관련 기사: 전주노송천, 복개 43년만에 생태하천 복원 착수 (naver.com)
(3) 관련 기사: 생태하천으로 복원된 전주 노송천…19일 준공 (naver.com)

○노송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4.45km |
발원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승암산 뒤쪽 발원지 |
하구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진북동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건산천) |
복개 구간 |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 |
복개 년도 |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1964년) 세이브존 뒤쪽 ~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진북광장 옆쪽 ~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2017년 복원) * 취소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현재 복원되어 물이 흐르는 모습이 보이는 구간임 |
1. 개요
노송천(老松川)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승암산 뒤쪽에서 발원하여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복개 시작점 ~ 전주가톨릭사회복지회 옆쪽 ~ 전주동부시장 옆쪽 ~ 전주시청 옆쪽 ~ 세이브존 뒤쪽 ~ 진북광장 옆쪽을 거쳐 덕진구 진북동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에서 전주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4.45km 정도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 (약 253m 정도),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세이브존 뒤쪽 (약 2.09km 정도),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 진북광장 옆쪽 (약 210m 정도),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약 326m 정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각각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까지의 구간은 1964년에 복개되었고, (1)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은 언제 복개되었는지 정확한 복개 시점을 알 수 없다.
또한. 숲정이 다리 ~ 진덕교 구간은 1996년에 복개되었지만, 이 중 복개된 구간 중 세이브존 뒤쪽 ~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진북광장 옆쪽 ~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까지의 구간은 2017년에 복원되어 현재는 물이 흐르고 있다.
3. 역사
노송천은 1964년 산업화에 따라 하천 주변 지역이 도시로 개발되면서 복개되었고, 복개 구조물도 낡게 되면서 1998년에는 재난위험시설 D급 판정을 받아 철거대상으로 지목되기도 하였다. (2)
그 후. 노송천은 1964년 산업화에 2007년에 생태하천 복원 계획이 수립되어 그 해 4월 말까지 철거공사를 마쳤고, 마침내 2017년까지 기존에 복개되었던 일부 구간이 생태하천으로 복원되었다.(3)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노송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관련 기사: ‘전주의 청계천’ 노송천, 친환경 생태하천 변신 (naver.com)
(2) 관련 기사: 전주노송천, 복개 43년만에 생태하천 복원 착수 (naver.com)
(3) 관련 기사: 생태하천으로 복원된 전주 노송천…19일 준공 (naver.com)

○노송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4.45km |
발원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승암산 뒤쪽 발원지 |
하구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진북동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건산천) |
복개 구간 |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 |
복개 년도 |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1964년) 세이브존 뒤쪽 ~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진북광장 옆쪽 ~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2017년 복원) * 취소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현재 복원되어 물이 흐르는 모습이 보이는 구간임 |
1. 개요
노송천(老松川)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승암산 뒤쪽에서 발원하여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복개 시작점 ~ 전주가톨릭사회복지회 옆쪽 ~ 전주동부시장 옆쪽 ~ 전주시청 옆쪽 ~ 세이브존 뒤쪽 ~ 진북광장 옆쪽을 거쳐 덕진구 진북동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에서 전주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4.45km 정도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 (약 253m 정도),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세이브존 뒤쪽 (약 2.09km 정도),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 진북광장 옆쪽 (약 210m 정도),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약 326m 정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각각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까지의 구간은 1964년에 복개되었고, (1)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은 언제 복개되었는지 정확한 복개 시점을 알 수 없다.
또한. 숲정이 다리 ~ 진덕교 구간은 1996년에 복개되었지만, 이 중 복개된 구간 중 세이브존 뒤쪽 ~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진북광장 옆쪽 ~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까지의 구간은 2017년에 복원되어 현재는 물이 흐르고 있다.
3. 역사
노송천은 1964년 산업화에 따라 하천 주변 지역이 도시로 개발되면서 복개되었고, 복개 구조물도 낡게 되면서 1998년에는 재난위험시설 D급 판정을 받아 철거대상으로 지목되기도 하였다. (2)
그 후. 노송천은 1964년 산업화에 2007년에 생태하천 복원 계획이 수립되어 그 해 4월 말까지 철거공사를 마쳤고, 마침내 2017년까지 기존에 복개되었던 일부 구간이 생태하천으로 복원되었다.(3)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노송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관련 기사: ‘전주의 청계천’ 노송천, 친환경 생태하천 변신 (naver.com)
(2) 관련 기사: 전주노송천, 복개 43년만에 생태하천 복원 착수 (naver.com)
(3) 관련 기사: 생태하천으로 복원된 전주 노송천…19일 준공 (naver.com)

○노송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4.45km |
발원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승암산 뒤쪽 발원지 |
하구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진북동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건산천) |
복개 구간 |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 |
복개 년도 |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1964년) 세이브존 뒤쪽 ~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진북광장 옆쪽 ~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2017년 복원) * 취소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현재 복원되어 물이 흐르는 모습이 보이는 구간임 |
1. 개요
노송천(老松川)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승암산 뒤쪽에서 발원하여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복개 시작점 ~ 전주가톨릭사회복지회 옆쪽 ~ 전주동부시장 옆쪽 ~ 전주시청 옆쪽 ~ 세이브존 뒤쪽 ~ 진북광장 옆쪽을 거쳐 덕진구 진북동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에서 전주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4.45km 정도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 (약 253m 정도),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세이브존 뒤쪽 (약 2.09km 정도),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 진북광장 옆쪽 (약 210m 정도),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약 326m 정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각각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까지의 구간은 1964년에 복개되었고, (1)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은 언제 복개되었는지 정확한 복개 시점을 알 수 없다.
또한. 숲정이 다리 ~ 진덕교 구간은 1996년에 복개되었지만, 이 중 복개된 구간 중 세이브존 뒤쪽 ~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진북광장 옆쪽 ~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까지의 구간은 2017년에 복원되어 현재는 물이 흐르고 있다.
3. 역사
노송천은 1964년 산업화에 따라 하천 주변 지역이 도시로 개발되면서 복개되었고, 복개 구조물도 낡게 되면서 1998년에는 재난위험시설 D급 판정을 받아 철거대상으로 지목되기도 하였다. (2)
그 후. 노송천은 1964년 산업화에 2007년에 생태하천 복원 계획이 수립되어 그 해 4월 말까지 철거공사를 마쳤고, 마침내 2017년까지 기존에 복개되었던 일부 구간이 생태하천으로 복원되었다.(3)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노송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관련 기사: ‘전주의 청계천’ 노송천, 친환경 생태하천 변신 (naver.com)
(2) 관련 기사: 전주노송천, 복개 43년만에 생태하천 복원 착수 (naver.com)
(3) 관련 기사: 생태하천으로 복원된 전주 노송천…19일 준공 (naver.com)

○노송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4.45km |
발원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승암산 뒤쪽 발원지 |
하구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진북동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건산천) |
복개 구간 |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 |
복개 년도 |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1964년) 세이브존 뒤쪽 ~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진북광장 옆쪽 ~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2017년 복원) * 취소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현재 복원되어 물이 흐르는 모습이 보이는 구간임 |
1. 개요
노송천(老松川)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승암산 뒤쪽에서 발원하여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복개 시작점 ~ 전주가톨릭사회복지회 옆쪽 ~ 전주동부시장 옆쪽 ~ 전주시청 옆쪽 ~ 세이브존 뒤쪽 ~ 진북광장 옆쪽을 거쳐 덕진구 진북동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에서 전주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4.45km 정도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 (약 253m 정도),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세이브존 뒤쪽 (약 2.09km 정도),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 진북광장 옆쪽 (약 210m 정도),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약 326m 정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각각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까지의 구간은 1964년에 복개되었고, (1)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은 언제 복개되었는지 정확한 복개 시점을 알 수 없다.
또한. 숲정이 다리 ~ 진덕교 구간은 1996년에 복개되었지만, 이 중 복개된 구간 중 세이브존 뒤쪽 ~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진북광장 옆쪽 ~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까지의 구간은 2017년에 복원되어 현재는 물이 흐르고 있다.
3. 역사
노송천은 1964년 산업화에 따라 하천 주변 지역이 도시로 개발되면서 복개되었고, 복개 구조물도 낡게 되면서 1998년에는 재난위험시설 D급 판정을 받아 철거대상으로 지목되기도 하였다. (2)
그 후. 노송천은 1964년 산업화에 2007년에 생태하천 복원 계획이 수립되어 그 해 4월 말까지 철거공사를 마쳤고, 마침내 2017년까지 기존에 복개되었던 일부 구간이 생태하천으로 복원되었다.(3)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노송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관련 기사: ‘전주의 청계천’ 노송천, 친환경 생태하천 변신 (naver.com)
(2) 관련 기사: 전주노송천, 복개 43년만에 생태하천 복원 착수 (naver.com)
(3) 관련 기사: 생태하천으로 복원된 전주 노송천…19일 준공 (naver.com)

○노송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4.45km |
발원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승암산 뒤쪽 발원지 |
하구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진북동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건산천) |
복개 구간 |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 |
복개 년도 |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1964년) 세이브존 뒤쪽 ~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진북광장 옆쪽 ~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2017년 복원) * 취소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현재 복원되어 물이 흐르는 모습이 보이는 구간임 |
1. 개요
노송천(老松川)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승암산 뒤쪽에서 발원하여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복개 시작점 ~ 전주가톨릭사회복지회 옆쪽 ~ 전주동부시장 옆쪽 ~ 전주시청 옆쪽 ~ 세이브존 뒤쪽 ~ 진북광장 옆쪽을 거쳐 덕진구 진북동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에서 전주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4.45km 정도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 (약 253m 정도),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세이브존 뒤쪽 (약 2.09km 정도),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 진북광장 옆쪽 (약 210m 정도),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약 326m 정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각각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까지의 구간은 1964년에 복개되었고, (1)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은 언제 복개되었는지 정확한 복개 시점을 알 수 없다.
또한. 숲정이 다리 ~ 진덕교 구간은 1996년에 복개되었지만, 이 중 복개된 구간 중 세이브존 뒤쪽 ~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진북광장 옆쪽 ~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까지의 구간은 2017년에 복원되어 현재는 물이 흐르고 있다.
3. 역사
노송천은 1964년 산업화에 따라 하천 주변 지역이 도시로 개발되면서 복개되었고, 복개 구조물도 낡게 되면서 1998년에는 재난위험시설 D급 판정을 받아 철거대상으로 지목되기도 하였다. (2)
그 후. 노송천은 1964년 산업화에 2007년에 생태하천 복원 계획이 수립되어 그 해 4월 말까지 철거공사를 마쳤고, 마침내 2017년까지 기존에 복개되었던 일부 구간이 생태하천으로 복원되었다.(3)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노송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관련 기사: ‘전주의 청계천’ 노송천, 친환경 생태하천 변신 (naver.com)
(2) 관련 기사: 전주노송천, 복개 43년만에 생태하천 복원 착수 (naver.com)
(3) 관련 기사: 생태하천으로 복원된 전주 노송천…19일 준공 (naver.com)

○노송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4.45km |
발원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승암산 뒤쪽 발원지 |
하구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진북동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건산천) |
복개 구간 |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 |
복개 년도 |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1964년) 세이브존 뒤쪽 ~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진북광장 옆쪽 ~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2017년 복원) * 취소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현재 복원되어 물이 흐르는 모습이 보이는 구간임 |
1. 개요
노송천(老松川)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승암산 뒤쪽에서 발원하여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복개 시작점 ~ 전주가톨릭사회복지회 옆쪽 ~ 전주동부시장 옆쪽 ~ 전주시청 옆쪽 ~ 세이브존 뒤쪽 ~ 진북광장 옆쪽을 거쳐 덕진구 진북동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에서 전주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4.45km 정도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 (약 253m 정도),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세이브존 뒤쪽 (약 2.09km 정도),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 진북광장 옆쪽 (약 210m 정도),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약 326m 정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각각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까지의 구간은 1964년에 복개되었고, (1)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은 언제 복개되었는지 정확한 복개 시점을 알 수 없다.
또한. 숲정이 다리 ~ 진덕교 구간은 1996년에 복개되었지만, 이 중 복개된 구간 중 세이브존 뒤쪽 ~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진북광장 옆쪽 ~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까지의 구간은 2017년에 복원되어 현재는 물이 흐르고 있다.
3. 역사
노송천은 1964년 산업화에 따라 하천 주변 지역이 도시로 개발되면서 복개되었고, 복개 구조물도 낡게 되면서 1998년에는 재난위험시설 D급 판정을 받아 철거대상으로 지목되기도 하였다. (2)
그 후. 노송천은 1964년 산업화에 2007년에 생태하천 복원 계획이 수립되어 그 해 4월 말까지 철거공사를 마쳤고, 마침내 2017년까지 기존에 복개되었던 일부 구간이 생태하천으로 복원되었다.(3)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노송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관련 기사: ‘전주의 청계천’ 노송천, 친환경 생태하천 변신 (naver.com)
(2) 관련 기사: 전주노송천, 복개 43년만에 생태하천 복원 착수 (naver.com)
(3) 관련 기사: 생태하천으로 복원된 전주 노송천…19일 준공 (naver.com)

○노송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4.45km |
발원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승암산 뒤쪽 발원지 |
하구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진북동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건산천) |
복개 구간 |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 |
복개 년도 |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1964년) 세이브존 뒤쪽 ~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진북광장 옆쪽 ~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2017년 복원) * 취소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현재 복원되어 물이 흐르는 모습이 보이는 구간임 |
1. 개요
노송천(老松川)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승암산 뒤쪽에서 발원하여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복개 시작점 ~ 전주가톨릭사회복지회 옆쪽 ~ 전주동부시장 옆쪽 ~ 전주시청 옆쪽 ~ 세이브존 뒤쪽 ~ 진북광장 옆쪽을 거쳐 덕진구 진북동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에서 전주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4.45km 정도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 (약 253m 정도),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세이브존 뒤쪽 (약 2.09km 정도),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 진북광장 옆쪽 (약 210m 정도),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약 326m 정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각각 효성교통 아파트 뒤쪽 ~ 금암광장 옆쪽 복개주차장 앞 합수점까지의 구간은 1964년에 복개되었고, (1) 낙수정 군경모지 주변의 복개 구간은 언제 복개되었는지 정확한 복개 시점을 알 수 없다.
또한. 숲정이 다리 ~ 진덕교 구간은 1996년에 복개되었지만, 이 중 복개된 구간 중 세이브존 뒤쪽 ~ 전주선 요양병원 옆쪽, 진북광장 옆쪽 ~ 한국은행 전북본부 뒤쪽까지의 구간은 2017년에 복원되어 현재는 물이 흐르고 있다.
3. 역사
노송천은 1964년 산업화에 따라 하천 주변 지역이 도시로 개발되면서 복개되었고, 복개 구조물도 낡게 되면서 1998년에는 재난위험시설 D급 판정을 받아 철거대상으로 지목되기도 하였다. (2)
그 후. 노송천은 1964년 산업화에 2007년에 생태하천 복원 계획이 수립되어 그 해 4월 말까지 철거공사를 마쳤고, 마침내 2017년까지 기존에 복개되었던 일부 구간이 생태하천으로 복원되었다.(3)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노송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관련 기사: ‘전주의 청계천’ 노송천, 친환경 생태하천 변신 (naver.com)
(2) 관련 기사: 전주노송천, 복개 43년만에 생태하천 복원 착수 (naver.com)
(3) 관련 기사: 생태하천으로 복원된 전주 노송천…19일 준공 (naver.com)

○건산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5.34km |
발원지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인후동 고용노동부 종합청사 옆쪽 발원지 |
하구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진북동 백제교 옆쪽 합수점(전주천) |
복개 구간 | 고용노동부 종합청사 옆쪽 발원지 ~ 태진교 뒤쪽 |
복개 년도 | 고용노동부 종합청사 옆쪽 발원지 ~ 작은모래내 다리 (1990년대 초반으로 추정) 작은모래내 다리 ~ 큰모래내 다리(1989년) 나무다리 ~ 남북로(1992년 4월 말) 남북로 ~ 기린로(1992년 하반기) 작은모래내 다리 ~ 금암교(1994년) 금암교 ~ 숲정이 다리(1995년) 숲정이 다리 ~ 진덕교(1996년) * 취소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현재 복원되어 물이 흐르는 모습이 보이는 구간임 |
1. 개요
건산천(亁山川)은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인후동 고용노동부 종합청사 옆쪽에서 발원하여 전주기린초 옆쪽 ~ 새움지역아동센터 옆쪽 ~ 순복음중앙교회 옆쪽 ~ 모래내시장 입구 ~ 금암광장 밑쪽을 거쳐 진북동 백제교 옆쪽 합수점에서 전주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5.34km 정도이다.
또한. 건산천은 순 우리말인 '모래내' 라고도 부르는데 복개된 건산천 물줄기 옆에 위치한 모래내시장의 '모래내' 가 그 건산천을 의미한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태진교 뒤쪽 ~ 백제교 옆쪽을 제외한 모든 구간 (약 4.42km 정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각각 작은모래내 다리 ~ 큰모래내 다리 구긴은 1989년에 복개되었고, 나무다리 ~ 남북로 구간은 1992년 4월 말에 복개되었으며, 남북로 ~ 기린로 구간은 1992년 하반기에 복개되었고, 작은모래내 다리 ~ 금암교 구간은 1994년에 복개되었으며, 금암교 ~ 숲정이 다리 구간은 1995년에 복개되었다.
또한. 숲정이 다리 ~ 진덕교 구간은 1996년에 복개되었지만, 이 중 태진교 뒤쪽 ~ 백제교 옆쪽까지의 구간은 현재 복원되어 물이 흐르고 있다.
3. 역사
현재 건산천은 순 우리말인 '모래내' 라고도 부르는데 복개된 건산천 물줄기 옆에 위치한 모래내시장의 '모래내' 가 그 건산천을 의미하며, (1) 복개 시점인 1990년대 중반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정화되지 않은 각종 생활하수나 폐수 등이 하천으로 흘러들어 사실상 대형 하수구 역할을 하였으며, 심하 악취로 주민들의 생활에 불편을 주고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역할을 하였다. (2)
이에 따라 건산천은 1980년대 말 부터 1996년까지 하류 일부 구간을 제외한 거의 모든 구간이 순차적으로 복개되었고, 이 중 상당 수 구간이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로로 사용되고 있다. (3)
그 후. 시대가 변하면서 건산천은 2012년부터 2017년까지 태진교 뒤쪽 ~ 백제교 옆쪽까지의 구간이 2012년 공사를 시작하여 2017년에 마침내 생태하천으로 복원되었으며, 그 후. 시대가 변하면서 건산천은 2012년부터 2017년까지 태진교 뒤쪽 ~ 백제교 옆쪽까지의 구간이 2012년 공사를 시작하여 2017년에 마침내 생태하천으로 복원되었으며, 최근에는 악취저감을 위한 하상정비사업이 복원된 구간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4)
그 밖에 건산천에 대한 조선시대나 일제강점기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거의 없고, 그 이후의 역사도 자세히 밝혀진 부분을 지금도 찾기 어려운 상태이다. (3)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1탄 사라진 물길 기록을 위한 공모전이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한 과거, 현재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건산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건산천이라는 이름이 만들어진 유래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2), (3) 관련 기사: 全州시 건산천 복개, 도로 활용 (naver.com)
(4) 관련 기사: 전주 건산천 '때빼고 광냈다' < 메인 < 사회 < 기사본문 - 전북중앙 (jjn.co.kr)
(5) 건산천에 대한 기록,역사,이야기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관련 백과인 건산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에 게시된 내용을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건산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5.34km |
발원지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인후동 고용노동부 종합청사 옆쪽 발원지 |
하구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진북동 백제교 옆쪽 합수점(전주천) |
복개 구간 | 고용노동부 종합청사 옆쪽 발원지 ~ 태진교 뒤쪽 |
복개 년도 | 고용노동부 종합청사 옆쪽 발원지 ~ 작은모래내 다리 (1990년대 초반으로 추정) 작은모래내 다리 ~ 큰모래내 다리(1989년) 나무다리 ~ 남북로(1992년 4월 말) 남북로 ~ 기린로(1992년 하반기) 작은모래내 다리 ~ 금암교(1994년) 금암교 ~ 숲정이 다리(1995년) 숲정이 다리 ~ 진덕교(1996년) * 취소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현재 복원되어 물이 흐르는 모습이 보이는 구간임 |
1. 개요
건산천(亁山川)은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인후동 고용노동부 종합청사 옆쪽에서 발원하여 전주기린초 옆쪽 ~ 새움지역아동센터 옆쪽 ~ 순복음중앙교회 옆쪽 ~ 모래내시장 입구 ~ 금암광장 밑쪽을 거쳐 진북동 백제교 옆쪽 합수점에서 전주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5.34km 정도이다.
또한. 건산천은 순 우리말인 '모래내' 라고도 부르는데 복개된 건산천 물줄기 옆에 위치한 모래내시장의 '모래내' 가 그 건산천을 의미한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태진교 뒤쪽 ~ 백제교 옆쪽을 제외한 모든 구간 (약 4.42km 정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각각 작은모래내 다리 ~ 큰모래내 다리 구긴은 1989년에 복개되었고, 나무다리 ~ 남북로 구간은 1992년 4월 말에 복개되었으며, 남북로 ~ 기린로 구간은 1992년 하반기에 복개되었고, 작은모래내 다리 ~ 금암교 구간은 1994년에 복개되었으며, 금암교 ~ 숲정이 다리 구간은 1995년에 복개되었다.
또한. 숲정이 다리 ~ 진덕교 구간은 1996년에 복개되었지만, 이 중 태진교 뒤쪽 ~ 백제교 옆쪽까지의 구간은 현재 복원되어 물이 흐르고 있다.
3. 역사
현재 건산천은 순 우리말인 '모래내' 라고도 부르는데 복개된 건산천 물줄기 옆에 위치한 모래내시장의 '모래내' 가 그 건산천을 의미하며, (1) 복개 시점인 1990년대 중반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정화되지 않은 각종 생활하수나 폐수 등이 하천으로 흘러들어 사실상 대형 하수구 역할을 하였으며, 심하 악취로 주민들의 생활에 불편을 주고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역할을 하였다. (2)
이에 따라 건산천은 1980년대 말 부터 1996년까지 하류 일부 구간을 제외한 거의 모든 구간이 순차적으로 복개되었고, 이 중 상당 수 구간이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로로 사용되고 있다. (3)
그 후. 시대가 변하면서 건산천은 2012년부터 2017년까지 태진교 뒤쪽 ~ 백제교 옆쪽까지의 구간이 2012년 공사를 시작하여 2017년에 마침내 생태하천으로 복원되었으며, 그 후. 시대가 변하면서 건산천은 2012년부터 2017년까지 태진교 뒤쪽 ~ 백제교 옆쪽까지의 구간이 2012년 공사를 시작하여 2017년에 마침내 생태하천으로 복원되었으며, 최근에는 악취저감을 위한 하상정비사업이 복원된 구간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4)
그 밖에 건산천에 대한 조선시대나 일제강점기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거의 없고, 그 이후의 역사도 자세히 밝혀진 부분을 지금도 찾기 어려운 상태이다. (3)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1탄 사라진 물길 기록을 위한 공모전이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한 과거, 현재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건산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건산천이라는 이름이 만들어진 유래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2), (3) 관련 기사: 全州시 건산천 복개, 도로 활용 (naver.com)
(4) 관련 기사: 전주 건산천 '때빼고 광냈다' < 메인 < 사회 < 기사본문 - 전북중앙 (jjn.co.kr)
(5) 건산천에 대한 기록,역사,이야기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관련 백과인 건산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에 게시된 내용을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건산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5.34km |
발원지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인후동 고용노동부 종합청사 옆쪽 발원지 |
하구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진북동 백제교 옆쪽 합수점(전주천) |
복개 구간 | 고용노동부 종합청사 옆쪽 발원지 ~ 태진교 뒤쪽 |
복개 년도 | 고용노동부 종합청사 옆쪽 발원지 ~ 작은모래내 다리 (1990년대 초반으로 추정) 작은모래내 다리 ~ 큰모래내 다리(1989년) 나무다리 ~ 남북로(1992년 4월 말) 남북로 ~ 기린로(1992년 하반기) 작은모래내 다리 ~ 금암교(1994년) 금암교 ~ 숲정이 다리(1995년) 숲정이 다리 ~ 진덕교(1996년) * 취소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현재 복원되어 물이 흐르는 모습이 보이는 구간임 |
1. 개요
건산천(亁山川)은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인후동 고용노동부 종합청사 옆쪽에서 발원하여 전주기린초 옆쪽 ~ 새움지역아동센터 옆쪽 ~ 순복음중앙교회 옆쪽 ~ 모래내시장 입구 ~ 금암광장 밑쪽을 거쳐 진북동 백제교 옆쪽 합수점에서 전주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5.34km 정도이다.
또한. 건산천은 순 우리말인 '모래내' 라고도 부르는데 복개된 건산천 물줄기 옆에 위치한 모래내시장의 '모래내' 가 그 건산천을 의미한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태진교 뒤쪽 ~ 백제교 옆쪽을 제외한 모든 구간 (약 4.42km 정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각각 작은모래내 다리 ~ 큰모래내 다리 구긴은 1989년에 복개되었고, 나무다리 ~ 남북로 구간은 1992년 4월 말에 복개되었으며, 남북로 ~ 기린로 구간은 1992년 하반기에 복개되었고, 작은모래내 다리 ~ 금암교 구간은 1994년에 복개되었으며, 금암교 ~ 숲정이 다리 구간은 1995년에 복개되었다.
또한. 숲정이 다리 ~ 진덕교 구간은 1996년에 복개되었지만, 이 중 태진교 뒤쪽 ~ 백제교 옆쪽까지의 구간은 현재 복원되어 물이 흐르고 있다.
3. 역사
현재 건산천은 순 우리말인 '모래내' 라고도 부르는데 복개된 건산천 물줄기 옆에 위치한 모래내시장의 '모래내' 가 그 건산천을 의미하며, (1) 복개 시점인 1990년대 중반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정화되지 않은 각종 생활하수나 폐수 등이 하천으로 흘러들어 사실상 대형 하수구 역할을 하였으며, 심하 악취로 주민들의 생활에 불편을 주고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역할을 하였다. (2)
이에 따라 건산천은 1980년대 말 부터 1996년까지 하류 일부 구간을 제외한 거의 모든 구간이 순차적으로 복개되었고, 이 중 상당 수 구간이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로로 사용되고 있다. (3)
그 후. 시대가 변하면서 건산천은 2012년부터 2017년까지 태진교 뒤쪽 ~ 백제교 옆쪽까지의 구간이 2012년 공사를 시작하여 2017년에 마침내 생태하천으로 복원되었으며, 그 후. 시대가 변하면서 건산천은 2012년부터 2017년까지 태진교 뒤쪽 ~ 백제교 옆쪽까지의 구간이 2012년 공사를 시작하여 2017년에 마침내 생태하천으로 복원되었으며, 최근에는 악취저감을 위한 하상정비사업이 복원된 구간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4)
그 밖에 건산천에 대한 조선시대나 일제강점기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거의 없고, 그 이후의 역사도 자세히 밝혀진 부분을 지금도 찾기 어려운 상태이다. (3)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1탄 사라진 물길 기록을 위한 공모전이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한 과거, 현재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건산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건산천이라는 이름이 만들어진 유래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2), (3) 관련 기사: 全州시 건산천 복개, 도로 활용 (naver.com)
(4) 관련 기사: 전주 건산천 '때빼고 광냈다' < 메인 < 사회 < 기사본문 - 전북중앙 (jjn.co.kr)
(5) 건산천에 대한 기록,역사,이야기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관련 백과인 건산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에 게시된 내용을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건산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5.34km |
발원지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인후동 고용노동부 종합청사 옆쪽 발원지 |
하구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진북동 백제교 옆쪽 합수점(전주천) |
복개 구간 | 고용노동부 종합청사 옆쪽 발원지 ~ 태진교 뒤쪽 |
복개 년도 | 고용노동부 종합청사 옆쪽 발원지 ~ 작은모래내 다리 (1990년대 초반으로 추정) 작은모래내 다리 ~ 큰모래내 다리(1989년) 나무다리 ~ 남북로(1992년 4월 말) 남북로 ~ 기린로(1992년 하반기) 작은모래내 다리 ~ 금암교(1994년) 금암교 ~ 숲정이 다리(1995년) 숲정이 다리 ~ 진덕교(1996년) * 취소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현재 복원되어 물이 흐르는 모습이 보이는 구간임 |
1. 개요
건산천(亁山川)은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인후동 고용노동부 종합청사 옆쪽에서 발원하여 전주기린초 옆쪽 ~ 새움지역아동센터 옆쪽 ~ 순복음중앙교회 옆쪽 ~ 모래내시장 입구 ~ 금암광장 밑쪽을 거쳐 진북동 백제교 옆쪽 합수점에서 전주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5.34km 정도이다.
또한. 건산천은 순 우리말인 '모래내' 라고도 부르는데 복개된 건산천 물줄기 옆에 위치한 모래내시장의 '모래내' 가 그 건산천을 의미한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태진교 뒤쪽 ~ 백제교 옆쪽을 제외한 모든 구간 (약 4.42km 정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각각 작은모래내 다리 ~ 큰모래내 다리 구긴은 1989년에 복개되었고, 나무다리 ~ 남북로 구간은 1992년 4월 말에 복개되었으며, 남북로 ~ 기린로 구간은 1992년 하반기에 복개되었고, 작은모래내 다리 ~ 금암교 구간은 1994년에 복개되었으며, 금암교 ~ 숲정이 다리 구간은 1995년에 복개되었다.
또한. 숲정이 다리 ~ 진덕교 구간은 1996년에 복개되었지만, 이 중 태진교 뒤쪽 ~ 백제교 옆쪽까지의 구간은 현재 복원되어 물이 흐르고 있다.
3. 역사
현재 건산천은 순 우리말인 '모래내' 라고도 부르는데 복개된 건산천 물줄기 옆에 위치한 모래내시장의 '모래내' 가 그 건산천을 의미하며, (1) 복개 시점인 1990년대 중반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정화되지 않은 각종 생활하수나 폐수 등이 하천으로 흘러들어 사실상 대형 하수구 역할을 하였으며, 심하 악취로 주민들의 생활에 불편을 주고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역할을 하였다. (2)
이에 따라 건산천은 1980년대 말 부터 1996년까지 하류 일부 구간을 제외한 거의 모든 구간이 순차적으로 복개되었고, 이 중 상당 수 구간이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로로 사용되고 있다. (3)
그 후. 시대가 변하면서 건산천은 2012년부터 2017년까지 태진교 뒤쪽 ~ 백제교 옆쪽까지의 구간이 2012년 공사를 시작하여 2017년에 마침내 생태하천으로 복원되었으며, 그 후. 시대가 변하면서 건산천은 2012년부터 2017년까지 태진교 뒤쪽 ~ 백제교 옆쪽까지의 구간이 2012년 공사를 시작하여 2017년에 마침내 생태하천으로 복원되었으며, 최근에는 악취저감을 위한 하상정비사업이 복원된 구간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4)
그 밖에 건산천에 대한 조선시대나 일제강점기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거의 없고, 그 이후의 역사도 자세히 밝혀진 부분을 지금도 찾기 어려운 상태이다. (3)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1탄 사라진 물길 기록을 위한 공모전이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한 과거, 현재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건산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건산천이라는 이름이 만들어진 유래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2), (3) 관련 기사: 全州시 건산천 복개, 도로 활용 (naver.com)
(4) 관련 기사: 전주 건산천 '때빼고 광냈다' < 메인 < 사회 < 기사본문 - 전북중앙 (jjn.co.kr)
(5) 건산천에 대한 기록,역사,이야기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관련 백과인 건산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에 게시된 내용을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건산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5.34km |
발원지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인후동 고용노동부 종합청사 옆쪽 발원지 |
하구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진북동 백제교 옆쪽 합수점(전주천) |
복개 구간 | 고용노동부 종합청사 옆쪽 발원지 ~ 태진교 뒤쪽 |
복개 년도 | 고용노동부 종합청사 옆쪽 발원지 ~ 작은모래내 다리 (1990년대 초반으로 추정) 작은모래내 다리 ~ 큰모래내 다리(1989년) 나무다리 ~ 남북로(1992년 4월 말) 남북로 ~ 기린로(1992년 하반기) 작은모래내 다리 ~ 금암교(1994년) 금암교 ~ 숲정이 다리(1995년) 숲정이 다리 ~ 진덕교(1996년) * 취소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현재 복원되어 물이 흐르는 모습이 보이는 구간임 |
1. 개요
건산천(亁山川)은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인후동 고용노동부 종합청사 옆쪽에서 발원하여 전주기린초 옆쪽 ~ 새움지역아동센터 옆쪽 ~ 순복음중앙교회 옆쪽 ~ 모래내시장 입구 ~ 금암광장 밑쪽을 거쳐 진북동 백제교 옆쪽 합수점에서 전주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5.34km 정도이다.
또한. 건산천은 순 우리말인 '모래내' 라고도 부르는데 복개된 건산천 물줄기 옆에 위치한 모래내시장의 '모래내' 가 그 건산천을 의미한다.
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태진교 뒤쪽 ~ 백제교 옆쪽을 제외한 모든 구간 (약 4.42km 정도)이 복개되었고, 복개된 시점은 각각 작은모래내 다리 ~ 큰모래내 다리 구긴은 1989년에 복개되었고, 나무다리 ~ 남북로 구간은 1992년 4월 말에 복개되었으며, 남북로 ~ 기린로 구간은 1992년 하반기에 복개되었고, 작은모래내 다리 ~ 금암교 구간은 1994년에 복개되었으며, 금암교 ~ 숲정이 다리 구간은 1995년에 복개되었다.
또한. 숲정이 다리 ~ 진덕교 구간은 1996년에 복개되었지만, 이 중 태진교 뒤쪽 ~ 백제교 옆쪽까지의 구간은 현재 복원되어 물이 흐르고 있다.
3. 역사
현재 건산천은 순 우리말인 '모래내' 라고도 부르는데 복개된 건산천 물줄기 옆에 위치한 모래내시장의 '모래내' 가 그 건산천을 의미하며, (1) 복개 시점인 1990년대 중반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정화되지 않은 각종 생활하수나 폐수 등이 하천으로 흘러들어 사실상 대형 하수구 역할을 하였으며, 심하 악취로 주민들의 생활에 불편을 주고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역할을 하였다. (2)
이에 따라 건산천은 1980년대 말 부터 1996년까지 하류 일부 구간을 제외한 거의 모든 구간이 순차적으로 복개되었고, 이 중 상당 수 구간이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로로 사용되고 있다. (3)
그 후. 시대가 변하면서 건산천은 2012년부터 2017년까지 태진교 뒤쪽 ~ 백제교 옆쪽까지의 구간이 2012년 공사를 시작하여 2017년에 마침내 생태하천으로 복원되었으며, 그 후. 시대가 변하면서 건산천은 2012년부터 2017년까지 태진교 뒤쪽 ~ 백제교 옆쪽까지의 구간이 2012년 공사를 시작하여 2017년에 마침내 생태하천으로 복원되었으며, 최근에는 악취저감을 위한 하상정비사업이 복원된 구간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4)
그 밖에 건산천에 대한 조선시대나 일제강점기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거의 없고, 그 이후의 역사도 자세히 밝혀진 부분을 지금도 찾기 어려운 상태이다. (3)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1탄 사라진 물길 기록을 위한 공모전이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한 과거, 현재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건산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1.17(수)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건산천이라는 이름이 만들어진 유래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2), (3) 관련 기사: 全州시 건산천 복개, 도로 활용 (naver.com)
(4) 관련 기사: 전주 건산천 '때빼고 광냈다' < 메인 < 사회 < 기사본문 - 전북중앙 (jjn.co.kr)
(5) 건산천에 대한 기록,역사,이야기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관련 백과인 건산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에 게시된 내용을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6.5km |
발원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 발원지 |
하구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반포천) |
복개 구간 |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 |
복개 년도 |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었음 |
1. 개요1. 개요 방배천(사당천)-方背川(舍堂川)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에서 발원하여 남태령역 뒤쪽 ~ 사당IC 옆쪽 ~ 사당역 옆쪽 ~ 천변 공영주차장 앞 ~ 이수역 옆쪽 ~ 방배4치안센터 옆쪽을 거쳐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에서 반포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6.5km 정도이다. 또한. 방배천과 사당천이라는 이름 외에도 승방천 등의 여러 명칭으로 불렸고, 특히 예전부터 사당천이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알려져 왔지만 사실상 하천의 전 구간을 관리하는 서초구청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오직 '방배천' 이라는 명칭만만 인정하며, 그 이유는 사당동은 서초구가 아닌 동작구 소속이어서 그렇게 정한다고 할 것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까지의 구간(약 550m 정도)과 기둥교회 건너편 ~ 서울전자고 입구의 옆쪽 구간(약 75m 정도)과 함께 이 하천의 주된 복개 구간을 차지하는 사당IC 옆쪽 ~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까지의 구간(약 5.38km 정도)이 복개되었고,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면서 현재처럼 복개되었다.
3. 역사3. 역사 현재 방배천은 1991년 복개된 이후부터 방배천로 라는 이름을 가진 복개도로가 복개된 하천 위를 지나고 있고, 이 도로를 비롯한 사당천의 복개 구간은 현재 서초구의 공영 주차장과 보행자 거리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1) 인근에 보드게임장(구 이수 서문클럽), 방배경찰서 등이 들어서 있다. 또한. 이수역 부근에서는 이 도로가 주변 지반에 비하여 현저히 낮기 때문에 하천이 있다는 것을 알기 쉽고, 사당역 부근에는 하천이 지나는 자리 바로 위에 공중화장실이 있으며, 서문여고 쪽 구간도 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2010년에는 지난 1998년부터 서초구청 광장에서 열렸던 벼룩시장이 사당천 복개도로로 자리를 옮겨서 개최하게 되었다. (2) 또한. 복원공사를 통해 녹지와 동시에 사당역 침수방지를 도모하려 하고 있었지만, 2015년 6월 기사 이후 소식이 없는 등으로 현재는 사실상 복원공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할 것이며, 2016년부터 타당성 조사 중이고 결과가 나오면 기본계획 마련 등 후속 작업을 착수할 계획으로 서울시는 사당역 일대 방재시설을 확충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아예 사당천을 복원해 빗물을 한강으로 흘려보내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또한. 2021년 09월 15일 오세훈 서울시장의 한강지천 르네상스에 방배천(사당천)이 포함되어 복원계획에 탄력을 받을 예정이고, 실제로 사당천이 복원되면 사당천 주변엔 도심 수변공간이 조성되고 이수고가차도 아래에 흐르는 반포천을 통해 한강까지 연결될 전망이다. 그 밖에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조선시대나 일제강점기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거의 없고, 그 이후의 역사도 자세히 밝혀진 부분을 지금도 찾기 어려운 상태이다. (3)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1탄 사라진 물길 기록을 위한 공모전이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한 과거, 현재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0.20(월)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탄: (1). 사라진 물길의 복원 방안 제시 공모대회 부문, (2).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 이용 후기 공모대회 부문과
3탄: (1).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대회 부문, (2). 프로젝트를 운영할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최합니다.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0.20(월)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탄: (1). 사라진 물길의 복원 방안 제시 공모대회 부문, (2).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 이용 후기 공모대회 부문과
3탄: (1).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대회 부문, (2). 프로젝트를 운영할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최합니다.
(1) 참고 기사: [전국 패트롤] 사당천 복개도로 보행자 중심 거리로 재탄생 外 : 네이버 뉴스 (naver.com)
(2) 관련 기사: 서울시, 사당천 복원 검토…사당역 침수 방지 대책 : 네이버 뉴스 (naver.com)
(3)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기록,역사,이야기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관련 백과인 사당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방배천 - 나무위키 (namu.wiki)에 게시된 내용을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6.5km |
발원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 발원지 |
하구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반포천) |
복개 구간 |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 |
복개 년도 |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었음 |
1. 개요1. 개요 방배천(사당천)-方背川(舍堂川)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에서 발원하여 남태령역 뒤쪽 ~ 사당IC 옆쪽 ~ 사당역 옆쪽 ~ 천변 공영주차장 앞 ~ 이수역 옆쪽 ~ 방배4치안센터 옆쪽을 거쳐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에서 반포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6.5km 정도이다. 또한. 방배천과 사당천이라는 이름 외에도 승방천 등의 여러 명칭으로 불렸고, 특히 예전부터 사당천이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알려져 왔지만 사실상 하천의 전 구간을 관리하는 서초구청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오직 '방배천' 이라는 명칭만만 인정하며, 그 이유는 사당동은 서초구가 아닌 동작구 소속이어서 그렇게 정한다고 할 것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까지의 구간(약 550m 정도)과 기둥교회 건너편 ~ 서울전자고 입구의 옆쪽 구간(약 75m 정도)과 함께 이 하천의 주된 복개 구간을 차지하는 사당IC 옆쪽 ~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까지의 구간(약 5.38km 정도)이 복개되었고,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면서 현재처럼 복개되었다.
3. 역사3. 역사 현재 방배천은 1991년 복개된 이후부터 방배천로 라는 이름을 가진 복개도로가 복개된 하천 위를 지나고 있고, 이 도로를 비롯한 사당천의 복개 구간은 현재 서초구의 공영 주차장과 보행자 거리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1) 인근에 보드게임장(구 이수 서문클럽), 방배경찰서 등이 들어서 있다. 또한. 이수역 부근에서는 이 도로가 주변 지반에 비하여 현저히 낮기 때문에 하천이 있다는 것을 알기 쉽고, 사당역 부근에는 하천이 지나는 자리 바로 위에 공중화장실이 있으며, 서문여고 쪽 구간도 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2010년에는 지난 1998년부터 서초구청 광장에서 열렸던 벼룩시장이 사당천 복개도로로 자리를 옮겨서 개최하게 되었다. (2) 또한. 복원공사를 통해 녹지와 동시에 사당역 침수방지를 도모하려 하고 있었지만, 2015년 6월 기사 이후 소식이 없는 등으로 현재는 사실상 복원공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할 것이며, 2016년부터 타당성 조사 중이고 결과가 나오면 기본계획 마련 등 후속 작업을 착수할 계획으로 서울시는 사당역 일대 방재시설을 확충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아예 사당천을 복원해 빗물을 한강으로 흘려보내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또한. 2021년 09월 15일 오세훈 서울시장의 한강지천 르네상스에 방배천(사당천)이 포함되어 복원계획에 탄력을 받을 예정이고, 실제로 사당천이 복원되면 사당천 주변엔 도심 수변공간이 조성되고 이수고가차도 아래에 흐르는 반포천을 통해 한강까지 연결될 전망이다. 그 밖에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조선시대나 일제강점기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거의 없고, 그 이후의 역사도 자세히 밝혀진 부분을 지금도 찾기 어려운 상태이다. (3)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1탄 사라진 물길 기록을 위한 공모전이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한 과거, 현재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0.20(월)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탄: (1). 사라진 물길의 복원 방안 제시 공모대회 부문, (2).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 이용 후기 공모대회 부문과
3탄: (1).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대회 부문, (2). 프로젝트를 운영할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최합니다.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0.20(월)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탄: (1). 사라진 물길의 복원 방안 제시 공모대회 부문, (2).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 이용 후기 공모대회 부문과
3탄: (1).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대회 부문, (2). 프로젝트를 운영할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최합니다.
(1) 참고 기사: [전국 패트롤] 사당천 복개도로 보행자 중심 거리로 재탄생 外 : 네이버 뉴스 (naver.com)
(2) 관련 기사: 서울시, 사당천 복원 검토…사당역 침수 방지 대책 : 네이버 뉴스 (naver.com)
(3)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기록,역사,이야기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관련 백과인 사당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방배천 - 나무위키 (namu.wiki)에 게시된 내용을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6.5km |
발원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 발원지 |
하구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반포천) |
복개 구간 |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 |
복개 년도 |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었음 |
1. 개요1. 개요 방배천(사당천)-方背川(舍堂川)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에서 발원하여 남태령역 뒤쪽 ~ 사당IC 옆쪽 ~ 사당역 옆쪽 ~ 천변 공영주차장 앞 ~ 이수역 옆쪽 ~ 방배4치안센터 옆쪽을 거쳐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에서 반포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6.5km 정도이다. 또한. 방배천과 사당천이라는 이름 외에도 승방천 등의 여러 명칭으로 불렸고, 특히 예전부터 사당천이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알려져 왔지만 사실상 하천의 전 구간을 관리하는 서초구청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오직 '방배천' 이라는 명칭만만 인정하며, 그 이유는 사당동은 서초구가 아닌 동작구 소속이어서 그렇게 정한다고 할 것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까지의 구간(약 550m 정도)과 기둥교회 건너편 ~ 서울전자고 입구의 옆쪽 구간(약 75m 정도)과 함께 이 하천의 주된 복개 구간을 차지하는 사당IC 옆쪽 ~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까지의 구간(약 5.38km 정도)이 복개되었고,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면서 현재처럼 복개되었다.
3. 역사3. 역사 현재 방배천은 1991년 복개된 이후부터 방배천로 라는 이름을 가진 복개도로가 복개된 하천 위를 지나고 있고, 이 도로를 비롯한 사당천의 복개 구간은 현재 서초구의 공영 주차장과 보행자 거리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1) 인근에 보드게임장(구 이수 서문클럽), 방배경찰서 등이 들어서 있다. 또한. 이수역 부근에서는 이 도로가 주변 지반에 비하여 현저히 낮기 때문에 하천이 있다는 것을 알기 쉽고, 사당역 부근에는 하천이 지나는 자리 바로 위에 공중화장실이 있으며, 서문여고 쪽 구간도 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2010년에는 지난 1998년부터 서초구청 광장에서 열렸던 벼룩시장이 사당천 복개도로로 자리를 옮겨서 개최하게 되었다. (2) 또한. 복원공사를 통해 녹지와 동시에 사당역 침수방지를 도모하려 하고 있었지만, 2015년 6월 기사 이후 소식이 없는 등으로 현재는 사실상 복원공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할 것이며, 2016년부터 타당성 조사 중이고 결과가 나오면 기본계획 마련 등 후속 작업을 착수할 계획으로 서울시는 사당역 일대 방재시설을 확충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아예 사당천을 복원해 빗물을 한강으로 흘려보내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또한. 2021년 09월 15일 오세훈 서울시장의 한강지천 르네상스에 방배천(사당천)이 포함되어 복원계획에 탄력을 받을 예정이고, 실제로 사당천이 복원되면 사당천 주변엔 도심 수변공간이 조성되고 이수고가차도 아래에 흐르는 반포천을 통해 한강까지 연결될 전망이다. 그 밖에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조선시대나 일제강점기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거의 없고, 그 이후의 역사도 자세히 밝혀진 부분을 지금도 찾기 어려운 상태이다. (3)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1탄 사라진 물길 기록을 위한 공모전이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한 과거, 현재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0.20(월)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탄: (1). 사라진 물길의 복원 방안 제시 공모대회 부문, (2).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 이용 후기 공모대회 부문과
3탄: (1).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대회 부문, (2). 프로젝트를 운영할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최합니다.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0.20(월)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탄: (1). 사라진 물길의 복원 방안 제시 공모대회 부문, (2).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 이용 후기 공모대회 부문과
3탄: (1).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대회 부문, (2). 프로젝트를 운영할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최합니다.
(1) 참고 기사: [전국 패트롤] 사당천 복개도로 보행자 중심 거리로 재탄생 外 : 네이버 뉴스 (naver.com)
(2) 관련 기사: 서울시, 사당천 복원 검토…사당역 침수 방지 대책 : 네이버 뉴스 (naver.com)
(3)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기록,역사,이야기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관련 백과인 사당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방배천 - 나무위키 (namu.wiki)에 게시된 내용을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6.5km |
발원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 발원지 |
하구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반포천) |
복개 구간 |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 |
복개 년도 |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었음 |
1. 개요1. 개요 방배천(사당천)-方背川(舍堂川)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에서 발원하여 남태령역 뒤쪽 ~ 사당IC 옆쪽 ~ 사당역 옆쪽 ~ 천변 공영주차장 앞 ~ 이수역 옆쪽 ~ 방배4치안센터 옆쪽을 거쳐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에서 반포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6.5km 정도이다. 또한. 방배천과 사당천이라는 이름 외에도 승방천 등의 여러 명칭으로 불렸고, 특히 예전부터 사당천이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알려져 왔지만 사실상 하천의 전 구간을 관리하는 서초구청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오직 '방배천' 이라는 명칭만만 인정하며, 그 이유는 사당동은 서초구가 아닌 동작구 소속이어서 그렇게 정한다고 할 것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까지의 구간(약 550m 정도)과 기둥교회 건너편 ~ 서울전자고 입구의 옆쪽 구간(약 75m 정도)과 함께 이 하천의 주된 복개 구간을 차지하는 사당IC 옆쪽 ~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까지의 구간(약 5.38km 정도)이 복개되었고,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면서 현재처럼 복개되었다.
3. 역사3. 역사 현재 방배천은 1991년 복개된 이후부터 방배천로 라는 이름을 가진 복개도로가 복개된 하천 위를 지나고 있고, 이 도로를 비롯한 사당천의 복개 구간은 현재 서초구의 공영 주차장과 보행자 거리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1) 인근에 보드게임장(구 이수 서문클럽), 방배경찰서 등이 들어서 있다. 또한. 이수역 부근에서는 이 도로가 주변 지반에 비하여 현저히 낮기 때문에 하천이 있다는 것을 알기 쉽고, 사당역 부근에는 하천이 지나는 자리 바로 위에 공중화장실이 있으며, 서문여고 쪽 구간도 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2010년에는 지난 1998년부터 서초구청 광장에서 열렸던 벼룩시장이 사당천 복개도로로 자리를 옮겨서 개최하게 되었다. (2) 또한. 복원공사를 통해 녹지와 동시에 사당역 침수방지를 도모하려 하고 있었지만, 2015년 6월 기사 이후 소식이 없는 등으로 현재는 사실상 복원공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할 것이며, 2016년부터 타당성 조사 중이고 결과가 나오면 기본계획 마련 등 후속 작업을 착수할 계획으로 서울시는 사당역 일대 방재시설을 확충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아예 사당천을 복원해 빗물을 한강으로 흘려보내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또한. 2021년 09월 15일 오세훈 서울시장의 한강지천 르네상스에 방배천(사당천)이 포함되어 복원계획에 탄력을 받을 예정이고, 실제로 사당천이 복원되면 사당천 주변엔 도심 수변공간이 조성되고 이수고가차도 아래에 흐르는 반포천을 통해 한강까지 연결될 전망이다. 그 밖에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조선시대나 일제강점기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거의 없고, 그 이후의 역사도 자세히 밝혀진 부분을 지금도 찾기 어려운 상태이다. (3)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1탄 사라진 물길 기록을 위한 공모전이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한 과거, 현재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0.20(월)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탄: (1). 사라진 물길의 복원 방안 제시 공모대회 부문, (2).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 이용 후기 공모대회 부문과
3탄: (1).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대회 부문, (2). 프로젝트를 운영할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최합니다.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0.20(월)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탄: (1). 사라진 물길의 복원 방안 제시 공모대회 부문, (2).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 이용 후기 공모대회 부문과
3탄: (1).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대회 부문, (2). 프로젝트를 운영할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최합니다.
(1) 참고 기사: [전국 패트롤] 사당천 복개도로 보행자 중심 거리로 재탄생 外 : 네이버 뉴스 (naver.com)
(2) 관련 기사: 서울시, 사당천 복원 검토…사당역 침수 방지 대책 : 네이버 뉴스 (naver.com)
(3)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기록,역사,이야기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관련 백과인 사당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방배천 - 나무위키 (namu.wiki)에 게시된 내용을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6.5km |
발원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 발원지 |
하구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반포천) |
복개 구간 |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 |
복개 년도 |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었음 |
1. 개요1. 개요 방배천(사당천)-方背川(舍堂川)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에서 발원하여 남태령역 뒤쪽 ~ 사당IC 옆쪽 ~ 사당역 옆쪽 ~ 천변 공영주차장 앞 ~ 이수역 옆쪽 ~ 방배4치안센터 옆쪽을 거쳐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에서 반포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6.5km 정도이다. 또한. 방배천과 사당천이라는 이름 외에도 승방천 등의 여러 명칭으로 불렸고, 특히 예전부터 사당천이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알려져 왔지만 사실상 하천의 전 구간을 관리하는 서초구청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오직 '방배천' 이라는 명칭만만 인정하며, 그 이유는 사당동은 서초구가 아닌 동작구 소속이어서 그렇게 정한다고 할 것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까지의 구간(약 550m 정도)과 기둥교회 건너편 ~ 서울전자고 입구의 옆쪽 구간(약 75m 정도)과 함께 이 하천의 주된 복개 구간을 차지하는 사당IC 옆쪽 ~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까지의 구간(약 5.38km 정도)이 복개되었고,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면서 현재처럼 복개되었다.
3. 역사3. 역사 현재 방배천은 1991년 복개된 이후부터 방배천로 라는 이름을 가진 복개도로가 복개된 하천 위를 지나고 있고, 이 도로를 비롯한 사당천의 복개 구간은 현재 서초구의 공영 주차장과 보행자 거리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1) 인근에 보드게임장(구 이수 서문클럽), 방배경찰서 등이 들어서 있다. 또한. 이수역 부근에서는 이 도로가 주변 지반에 비하여 현저히 낮기 때문에 하천이 있다는 것을 알기 쉽고, 사당역 부근에는 하천이 지나는 자리 바로 위에 공중화장실이 있으며, 서문여고 쪽 구간도 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2010년에는 지난 1998년부터 서초구청 광장에서 열렸던 벼룩시장이 사당천 복개도로로 자리를 옮겨서 개최하게 되었다. (2) 또한. 복원공사를 통해 녹지와 동시에 사당역 침수방지를 도모하려 하고 있었지만, 2015년 6월 기사 이후 소식이 없는 등으로 현재는 사실상 복원공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할 것이며, 2016년부터 타당성 조사 중이고 결과가 나오면 기본계획 마련 등 후속 작업을 착수할 계획으로 서울시는 사당역 일대 방재시설을 확충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아예 사당천을 복원해 빗물을 한강으로 흘려보내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또한. 2021년 09월 15일 오세훈 서울시장의 한강지천 르네상스에 방배천(사당천)이 포함되어 복원계획에 탄력을 받을 예정이고, 실제로 사당천이 복원되면 사당천 주변엔 도심 수변공간이 조성되고 이수고가차도 아래에 흐르는 반포천을 통해 한강까지 연결될 전망이다. 그 밖에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조선시대나 일제강점기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거의 없고, 그 이후의 역사도 자세히 밝혀진 부분을 지금도 찾기 어려운 상태이다. (3)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1탄 사라진 물길 기록을 위한 공모전이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한 과거, 현재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0.20(월)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탄: (1). 사라진 물길의 복원 방안 제시 공모대회 부문, (2).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 이용 후기 공모대회 부문과
3탄: (1).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대회 부문, (2). 프로젝트를 운영할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최합니다.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0.20(월)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탄: (1). 사라진 물길의 복원 방안 제시 공모대회 부문, (2).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 이용 후기 공모대회 부문과
3탄: (1).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대회 부문, (2). 프로젝트를 운영할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최합니다.
(1) 참고 기사: [전국 패트롤] 사당천 복개도로 보행자 중심 거리로 재탄생 外 : 네이버 뉴스 (naver.com)
(2) 관련 기사: 서울시, 사당천 복원 검토…사당역 침수 방지 대책 : 네이버 뉴스 (naver.com)
(3)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기록,역사,이야기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관련 백과인 사당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방배천 - 나무위키 (namu.wiki)에 게시된 내용을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6.5km |
발원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 발원지 |
하구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반포천) |
복개 구간 |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 |
복개 년도 |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었음 |
1. 개요1. 개요 방배천(사당천)-方背川(舍堂川)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에서 발원하여 남태령역 뒤쪽 ~ 사당IC 옆쪽 ~ 사당역 옆쪽 ~ 천변 공영주차장 앞 ~ 이수역 옆쪽 ~ 방배4치안센터 옆쪽을 거쳐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에서 반포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6.5km 정도이다. 또한. 방배천과 사당천이라는 이름 외에도 승방천 등의 여러 명칭으로 불렸고, 특히 예전부터 사당천이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알려져 왔지만 사실상 하천의 전 구간을 관리하는 서초구청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오직 '방배천' 이라는 명칭만만 인정하며, 그 이유는 사당동은 서초구가 아닌 동작구 소속이어서 그렇게 정한다고 할 것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까지의 구간(약 550m 정도)과 기둥교회 건너편 ~ 서울전자고 입구의 옆쪽 구간(약 75m 정도)과 함께 이 하천의 주된 복개 구간을 차지하는 사당IC 옆쪽 ~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까지의 구간(약 5.38km 정도)이 복개되었고,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면서 현재처럼 복개되었다.
3. 역사3. 역사 현재 방배천은 1991년 복개된 이후부터 방배천로 라는 이름을 가진 복개도로가 복개된 하천 위를 지나고 있고, 이 도로를 비롯한 사당천의 복개 구간은 현재 서초구의 공영 주차장과 보행자 거리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1) 인근에 보드게임장(구 이수 서문클럽), 방배경찰서 등이 들어서 있다. 또한. 이수역 부근에서는 이 도로가 주변 지반에 비하여 현저히 낮기 때문에 하천이 있다는 것을 알기 쉽고, 사당역 부근에는 하천이 지나는 자리 바로 위에 공중화장실이 있으며, 서문여고 쪽 구간도 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2010년에는 지난 1998년부터 서초구청 광장에서 열렸던 벼룩시장이 사당천 복개도로로 자리를 옮겨서 개최하게 되었다. (2) 또한. 복원공사를 통해 녹지와 동시에 사당역 침수방지를 도모하려 하고 있었지만, 2015년 6월 기사 이후 소식이 없는 등으로 현재는 사실상 복원공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할 것이며, 2016년부터 타당성 조사 중이고 결과가 나오면 기본계획 마련 등 후속 작업을 착수할 계획으로 서울시는 사당역 일대 방재시설을 확충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아예 사당천을 복원해 빗물을 한강으로 흘려보내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또한. 2021년 09월 15일 오세훈 서울시장의 한강지천 르네상스에 방배천(사당천)이 포함되어 복원계획에 탄력을 받을 예정이고, 실제로 사당천이 복원되면 사당천 주변엔 도심 수변공간이 조성되고 이수고가차도 아래에 흐르는 반포천을 통해 한강까지 연결될 전망이다. 그 밖에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조선시대나 일제강점기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거의 없고, 그 이후의 역사도 자세히 밝혀진 부분을 지금도 찾기 어려운 상태이다. (3)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1탄 사라진 물길 기록을 위한 공모전이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한 과거, 현재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0.20(월)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탄: (1). 사라진 물길의 복원 방안 제시 공모대회 부문, (2).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 이용 후기 공모대회 부문과
3탄: (1).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대회 부문, (2). 프로젝트를 운영할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최합니다.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0.20(월)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탄: (1). 사라진 물길의 복원 방안 제시 공모대회 부문, (2).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 이용 후기 공모대회 부문과
3탄: (1).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대회 부문, (2). 프로젝트를 운영할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최합니다.
(1) 참고 기사: [전국 패트롤] 사당천 복개도로 보행자 중심 거리로 재탄생 外 : 네이버 뉴스 (naver.com)
(2) 관련 기사: 서울시, 사당천 복원 검토…사당역 침수 방지 대책 : 네이버 뉴스 (naver.com)
(3)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기록,역사,이야기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관련 백과인 사당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방배천 - 나무위키 (namu.wiki)에 게시된 내용을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6.5km |
발원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 발원지 |
하구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반포천) |
복개 구간 |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 |
복개 년도 |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었음 |
1. 개요1. 개요 방배천(사당천)-方背川(舍堂川)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에서 발원하여 남태령역 뒤쪽 ~ 사당IC 옆쪽 ~ 사당역 옆쪽 ~ 천변 공영주차장 앞 ~ 이수역 옆쪽 ~ 방배4치안센터 옆쪽을 거쳐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에서 반포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6.5km 정도이다. 또한. 방배천과 사당천이라는 이름 외에도 승방천 등의 여러 명칭으로 불렸고, 특히 예전부터 사당천이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알려져 왔지만 사실상 하천의 전 구간을 관리하는 서초구청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오직 '방배천' 이라는 명칭만만 인정하며, 그 이유는 사당동은 서초구가 아닌 동작구 소속이어서 그렇게 정한다고 할 것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까지의 구간(약 550m 정도)과 기둥교회 건너편 ~ 서울전자고 입구의 옆쪽 구간(약 75m 정도)과 함께 이 하천의 주된 복개 구간을 차지하는 사당IC 옆쪽 ~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까지의 구간(약 5.38km 정도)이 복개되었고,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면서 현재처럼 복개되었다.
3. 역사3. 역사 현재 방배천은 1991년 복개된 이후부터 방배천로 라는 이름을 가진 복개도로가 복개된 하천 위를 지나고 있고, 이 도로를 비롯한 사당천의 복개 구간은 현재 서초구의 공영 주차장과 보행자 거리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1) 인근에 보드게임장(구 이수 서문클럽), 방배경찰서 등이 들어서 있다. 또한. 이수역 부근에서는 이 도로가 주변 지반에 비하여 현저히 낮기 때문에 하천이 있다는 것을 알기 쉽고, 사당역 부근에는 하천이 지나는 자리 바로 위에 공중화장실이 있으며, 서문여고 쪽 구간도 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2010년에는 지난 1998년부터 서초구청 광장에서 열렸던 벼룩시장이 사당천 복개도로로 자리를 옮겨서 개최하게 되었다. (2) 또한. 복원공사를 통해 녹지와 동시에 사당역 침수방지를 도모하려 하고 있었지만, 2015년 6월 기사 이후 소식이 없는 등으로 현재는 사실상 복원공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할 것이며, 2016년부터 타당성 조사 중이고 결과가 나오면 기본계획 마련 등 후속 작업을 착수할 계획으로 서울시는 사당역 일대 방재시설을 확충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아예 사당천을 복원해 빗물을 한강으로 흘려보내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또한. 2021년 09월 15일 오세훈 서울시장의 한강지천 르네상스에 방배천(사당천)이 포함되어 복원계획에 탄력을 받을 예정이고, 실제로 사당천이 복원되면 사당천 주변엔 도심 수변공간이 조성되고 이수고가차도 아래에 흐르는 반포천을 통해 한강까지 연결될 전망이다. 그 밖에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조선시대나 일제강점기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거의 없고, 그 이후의 역사도 자세히 밝혀진 부분을 지금도 찾기 어려운 상태이다. (3)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1탄 사라진 물길 기록을 위한 공모전이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한 과거, 현재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0.20(월)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탄: (1). 사라진 물길의 복원 방안 제시 공모대회 부문, (2).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 이용 후기 공모대회 부문과
3탄: (1).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대회 부문, (2). 프로젝트를 운영할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최합니다.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0.20(월)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탄: (1). 사라진 물길의 복원 방안 제시 공모대회 부문, (2).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 이용 후기 공모대회 부문과
3탄: (1).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대회 부문, (2). 프로젝트를 운영할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최합니다.
(1) 참고 기사: [전국 패트롤] 사당천 복개도로 보행자 중심 거리로 재탄생 外 : 네이버 뉴스 (naver.com)
(2) 관련 기사: 서울시, 사당천 복원 검토…사당역 침수 방지 대책 : 네이버 뉴스 (naver.com)
(3)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기록,역사,이야기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관련 백과인 사당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방배천 - 나무위키 (namu.wiki)에 게시된 내용을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6.5km |
발원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 발원지 |
하구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반포천) |
복개 구간 |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 |
복개 년도 |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었음 |
1. 개요1. 개요 방배천(사당천)-方背川(舍堂川)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에서 발원하여 남태령역 뒤쪽 ~ 사당IC 옆쪽 ~ 사당역 옆쪽 ~ 천변 공영주차장 앞 ~ 이수역 옆쪽 ~ 방배4치안센터 옆쪽을 거쳐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에서 반포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6.5km 정도이다. 또한. 방배천과 사당천이라는 이름 외에도 승방천 등의 여러 명칭으로 불렸고, 특히 예전부터 사당천이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알려져 왔지만 사실상 하천의 전 구간을 관리하는 서초구청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오직 '방배천' 이라는 명칭만만 인정하며, 그 이유는 사당동은 서초구가 아닌 동작구 소속이어서 그렇게 정한다고 할 것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까지의 구간(약 550m 정도)과 기둥교회 건너편 ~ 서울전자고 입구의 옆쪽 구간(약 75m 정도)과 함께 이 하천의 주된 복개 구간을 차지하는 사당IC 옆쪽 ~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까지의 구간(약 5.38km 정도)이 복개되었고,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면서 현재처럼 복개되었다.
3. 역사3. 역사 현재 방배천은 1991년 복개된 이후부터 방배천로 라는 이름을 가진 복개도로가 복개된 하천 위를 지나고 있고, 이 도로를 비롯한 사당천의 복개 구간은 현재 서초구의 공영 주차장과 보행자 거리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1) 인근에 보드게임장(구 이수 서문클럽), 방배경찰서 등이 들어서 있다. 또한. 이수역 부근에서는 이 도로가 주변 지반에 비하여 현저히 낮기 때문에 하천이 있다는 것을 알기 쉽고, 사당역 부근에는 하천이 지나는 자리 바로 위에 공중화장실이 있으며, 서문여고 쪽 구간도 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2010년에는 지난 1998년부터 서초구청 광장에서 열렸던 벼룩시장이 사당천 복개도로로 자리를 옮겨서 개최하게 되었다. (2) 또한. 복원공사를 통해 녹지와 동시에 사당역 침수방지를 도모하려 하고 있었지만, 2015년 6월 기사 이후 소식이 없는 등으로 현재는 사실상 복원공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할 것이며, 2016년부터 타당성 조사 중이고 결과가 나오면 기본계획 마련 등 후속 작업을 착수할 계획으로 서울시는 사당역 일대 방재시설을 확충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아예 사당천을 복원해 빗물을 한강으로 흘려보내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또한. 2021년 09월 15일 오세훈 서울시장의 한강지천 르네상스에 방배천(사당천)이 포함되어 복원계획에 탄력을 받을 예정이고, 실제로 사당천이 복원되면 사당천 주변엔 도심 수변공간이 조성되고 이수고가차도 아래에 흐르는 반포천을 통해 한강까지 연결될 전망이다. 그 밖에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조선시대나 일제강점기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거의 없고, 그 이후의 역사도 자세히 밝혀진 부분을 지금도 찾기 어려운 상태이다. (3)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1탄 사라진 물길 기록을 위한 공모전이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한 과거, 현재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0.20(월)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탄: (1). 사라진 물길의 복원 방안 제시 공모대회 부문, (2).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 이용 후기 공모대회 부문과
3탄: (1).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대회 부문, (2). 프로젝트를 운영할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최합니다.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0.20(월)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탄: (1). 사라진 물길의 복원 방안 제시 공모대회 부문, (2).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 이용 후기 공모대회 부문과
3탄: (1).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대회 부문, (2). 프로젝트를 운영할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최합니다.
(1) 참고 기사: [전국 패트롤] 사당천 복개도로 보행자 중심 거리로 재탄생 外 : 네이버 뉴스 (naver.com)
(2) 관련 기사: 서울시, 사당천 복원 검토…사당역 침수 방지 대책 : 네이버 뉴스 (naver.com)
(3)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기록,역사,이야기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관련 백과인 사당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방배천 - 나무위키 (namu.wiki)에 게시된 내용을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6.5km |
발원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 발원지 |
하구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반포천) |
복개 구간 |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 |
복개 년도 |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었음 |
1. 개요1. 개요 방배천(사당천)-方背川(舍堂川)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에서 발원하여 남태령역 뒤쪽 ~ 사당IC 옆쪽 ~ 사당역 옆쪽 ~ 천변 공영주차장 앞 ~ 이수역 옆쪽 ~ 방배4치안센터 옆쪽을 거쳐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에서 반포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6.5km 정도이다. 또한. 방배천과 사당천이라는 이름 외에도 승방천 등의 여러 명칭으로 불렸고, 특히 예전부터 사당천이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알려져 왔지만 사실상 하천의 전 구간을 관리하는 서초구청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오직 '방배천' 이라는 명칭만만 인정하며, 그 이유는 사당동은 서초구가 아닌 동작구 소속이어서 그렇게 정한다고 할 것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까지의 구간(약 550m 정도)과 기둥교회 건너편 ~ 서울전자고 입구의 옆쪽 구간(약 75m 정도)과 함께 이 하천의 주된 복개 구간을 차지하는 사당IC 옆쪽 ~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까지의 구간(약 5.38km 정도)이 복개되었고,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면서 현재처럼 복개되었다.
3. 역사3. 역사 현재 방배천은 1991년 복개된 이후부터 방배천로 라는 이름을 가진 복개도로가 복개된 하천 위를 지나고 있고, 이 도로를 비롯한 사당천의 복개 구간은 현재 서초구의 공영 주차장과 보행자 거리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1) 인근에 보드게임장(구 이수 서문클럽), 방배경찰서 등이 들어서 있다. 또한. 이수역 부근에서는 이 도로가 주변 지반에 비하여 현저히 낮기 때문에 하천이 있다는 것을 알기 쉽고, 사당역 부근에는 하천이 지나는 자리 바로 위에 공중화장실이 있으며, 서문여고 쪽 구간도 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2010년에는 지난 1998년부터 서초구청 광장에서 열렸던 벼룩시장이 사당천 복개도로로 자리를 옮겨서 개최하게 되었다. (2) 또한. 복원공사를 통해 녹지와 동시에 사당역 침수방지를 도모하려 하고 있었지만, 2015년 6월 기사 이후 소식이 없는 등으로 현재는 사실상 복원공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할 것이며, 2016년부터 타당성 조사 중이고 결과가 나오면 기본계획 마련 등 후속 작업을 착수할 계획으로 서울시는 사당역 일대 방재시설을 확충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아예 사당천을 복원해 빗물을 한강으로 흘려보내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또한. 2021년 09월 15일 오세훈 서울시장의 한강지천 르네상스에 방배천(사당천)이 포함되어 복원계획에 탄력을 받을 예정이고, 실제로 사당천이 복원되면 사당천 주변엔 도심 수변공간이 조성되고 이수고가차도 아래에 흐르는 반포천을 통해 한강까지 연결될 전망이다. 그 밖에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조선시대나 일제강점기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거의 없고, 그 이후의 역사도 자세히 밝혀진 부분을 지금도 찾기 어려운 상태이다. (3)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1탄 사라진 물길 기록을 위한 공모전이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한 과거, 현재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0.20(월)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탄: (1). 사라진 물길의 복원 방안 제시 공모대회 부문, (2).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 이용 후기 공모대회 부문과
3탄: (1).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대회 부문, (2). 프로젝트를 운영할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최합니다.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0.20(월)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탄: (1). 사라진 물길의 복원 방안 제시 공모대회 부문, (2).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 이용 후기 공모대회 부문과
3탄: (1).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대회 부문, (2). 프로젝트를 운영할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최합니다.
(1) 참고 기사: [전국 패트롤] 사당천 복개도로 보행자 중심 거리로 재탄생 外 : 네이버 뉴스 (naver.com)
(2) 관련 기사: 서울시, 사당천 복원 검토…사당역 침수 방지 대책 : 네이버 뉴스 (naver.com)
(3)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기록,역사,이야기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관련 백과인 사당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방배천 - 나무위키 (namu.wiki)에 게시된 내용을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6.5km |
발원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 발원지 |
하구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반포천) |
복개 구간 |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 |
복개 년도 |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었음 |
1. 개요1. 개요 방배천(사당천)-方背川(舍堂川)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에서 발원하여 남태령역 뒤쪽 ~ 사당IC 옆쪽 ~ 사당역 옆쪽 ~ 천변 공영주차장 앞 ~ 이수역 옆쪽 ~ 방배4치안센터 옆쪽을 거쳐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에서 반포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6.5km 정도이다. 또한. 방배천과 사당천이라는 이름 외에도 승방천 등의 여러 명칭으로 불렸고, 특히 예전부터 사당천이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알려져 왔지만 사실상 하천의 전 구간을 관리하는 서초구청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오직 '방배천' 이라는 명칭만만 인정하며, 그 이유는 사당동은 서초구가 아닌 동작구 소속이어서 그렇게 정한다고 할 것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까지의 구간(약 550m 정도)과 기둥교회 건너편 ~ 서울전자고 입구의 옆쪽 구간(약 75m 정도)과 함께 이 하천의 주된 복개 구간을 차지하는 사당IC 옆쪽 ~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까지의 구간(약 5.38km 정도)이 복개되었고,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면서 현재처럼 복개되었다.
3. 역사3. 역사 현재 방배천은 1991년 복개된 이후부터 방배천로 라는 이름을 가진 복개도로가 복개된 하천 위를 지나고 있고, 이 도로를 비롯한 사당천의 복개 구간은 현재 서초구의 공영 주차장과 보행자 거리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1) 인근에 보드게임장(구 이수 서문클럽), 방배경찰서 등이 들어서 있다. 또한. 이수역 부근에서는 이 도로가 주변 지반에 비하여 현저히 낮기 때문에 하천이 있다는 것을 알기 쉽고, 사당역 부근에는 하천이 지나는 자리 바로 위에 공중화장실이 있으며, 서문여고 쪽 구간도 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2010년에는 지난 1998년부터 서초구청 광장에서 열렸던 벼룩시장이 사당천 복개도로로 자리를 옮겨서 개최하게 되었다. (2) 또한. 복원공사를 통해 녹지와 동시에 사당역 침수방지를 도모하려 하고 있었지만, 2015년 6월 기사 이후 소식이 없는 등으로 현재는 사실상 복원공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할 것이며, 2016년부터 타당성 조사 중이고 결과가 나오면 기본계획 마련 등 후속 작업을 착수할 계획으로 서울시는 사당역 일대 방재시설을 확충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아예 사당천을 복원해 빗물을 한강으로 흘려보내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또한. 2021년 09월 15일 오세훈 서울시장의 한강지천 르네상스에 방배천(사당천)이 포함되어 복원계획에 탄력을 받을 예정이고, 실제로 사당천이 복원되면 사당천 주변엔 도심 수변공간이 조성되고 이수고가차도 아래에 흐르는 반포천을 통해 한강까지 연결될 전망이다. 그 밖에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조선시대나 일제강점기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거의 없고, 그 이후의 역사도 자세히 밝혀진 부분을 지금도 찾기 어려운 상태이다. (3)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1탄 사라진 물길 기록을 위한 공모전이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한 과거, 현재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0.20(월)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탄: (1). 사라진 물길의 복원 방안 제시 공모대회 부문, (2).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 이용 후기 공모대회 부문과
3탄: (1).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대회 부문, (2). 프로젝트를 운영할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최합니다.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0.20(월)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탄: (1). 사라진 물길의 복원 방안 제시 공모대회 부문, (2).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 이용 후기 공모대회 부문과
3탄: (1).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대회 부문, (2). 프로젝트를 운영할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최합니다.
(1) 참고 기사: [전국 패트롤] 사당천 복개도로 보행자 중심 거리로 재탄생 外 : 네이버 뉴스 (naver.com)
(2) 관련 기사: 서울시, 사당천 복원 검토…사당역 침수 방지 대책 : 네이버 뉴스 (naver.com)
(3)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기록,역사,이야기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관련 백과인 사당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방배천 - 나무위키 (namu.wiki)에 게시된 내용을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6.5km |
발원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 발원지 |
하구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반포천) |
복개 구간 |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 |
복개 년도 |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었음 |
1. 개요1. 개요 방배천(사당천)-方背川(舍堂川)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에서 발원하여 남태령역 뒤쪽 ~ 사당IC 옆쪽 ~ 사당역 옆쪽 ~ 천변 공영주차장 앞 ~ 이수역 옆쪽 ~ 방배4치안센터 옆쪽을 거쳐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에서 반포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6.5km 정도이다. 또한. 방배천과 사당천이라는 이름 외에도 승방천 등의 여러 명칭으로 불렸고, 특히 예전부터 사당천이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알려져 왔지만 사실상 하천의 전 구간을 관리하는 서초구청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오직 '방배천' 이라는 명칭만만 인정하며, 그 이유는 사당동은 서초구가 아닌 동작구 소속이어서 그렇게 정한다고 할 것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까지의 구간(약 550m 정도)과 기둥교회 건너편 ~ 서울전자고 입구의 옆쪽 구간(약 75m 정도)과 함께 이 하천의 주된 복개 구간을 차지하는 사당IC 옆쪽 ~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까지의 구간(약 5.38km 정도)이 복개되었고,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면서 현재처럼 복개되었다.
3. 역사3. 역사 현재 방배천은 1991년 복개된 이후부터 방배천로 라는 이름을 가진 복개도로가 복개된 하천 위를 지나고 있고, 이 도로를 비롯한 사당천의 복개 구간은 현재 서초구의 공영 주차장과 보행자 거리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1) 인근에 보드게임장(구 이수 서문클럽), 방배경찰서 등이 들어서 있다. 또한. 이수역 부근에서는 이 도로가 주변 지반에 비하여 현저히 낮기 때문에 하천이 있다는 것을 알기 쉽고, 사당역 부근에는 하천이 지나는 자리 바로 위에 공중화장실이 있으며, 서문여고 쪽 구간도 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2010년에는 지난 1998년부터 서초구청 광장에서 열렸던 벼룩시장이 사당천 복개도로로 자리를 옮겨서 개최하게 되었다. (2) 또한. 복원공사를 통해 녹지와 동시에 사당역 침수방지를 도모하려 하고 있었지만, 2015년 6월 기사 이후 소식이 없는 등으로 현재는 사실상 복원공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할 것이며, 2016년부터 타당성 조사 중이고 결과가 나오면 기본계획 마련 등 후속 작업을 착수할 계획으로 서울시는 사당역 일대 방재시설을 확충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아예 사당천을 복원해 빗물을 한강으로 흘려보내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또한. 2021년 09월 15일 오세훈 서울시장의 한강지천 르네상스에 방배천(사당천)이 포함되어 복원계획에 탄력을 받을 예정이고, 실제로 사당천이 복원되면 사당천 주변엔 도심 수변공간이 조성되고 이수고가차도 아래에 흐르는 반포천을 통해 한강까지 연결될 전망이다. 그 밖에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조선시대나 일제강점기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거의 없고, 그 이후의 역사도 자세히 밝혀진 부분을 지금도 찾기 어려운 상태이다. (3)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1탄 사라진 물길 기록을 위한 공모전이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한 과거, 현재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0.20(월)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탄: (1). 사라진 물길의 복원 방안 제시 공모대회 부문, (2).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 이용 후기 공모대회 부문과
3탄: (1).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대회 부문, (2). 프로젝트를 운영할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최합니다.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0.20(월)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탄: (1). 사라진 물길의 복원 방안 제시 공모대회 부문, (2).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 이용 후기 공모대회 부문과
3탄: (1).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대회 부문, (2). 프로젝트를 운영할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최합니다.
(1) 참고 기사: [전국 패트롤] 사당천 복개도로 보행자 중심 거리로 재탄생 外 : 네이버 뉴스 (naver.com)
(2) 관련 기사: 서울시, 사당천 복원 검토…사당역 침수 방지 대책 : 네이버 뉴스 (naver.com)
(3)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기록,역사,이야기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관련 백과인 사당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방배천 - 나무위키 (namu.wiki)에 게시된 내용을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6.5km |
발원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 발원지 |
하구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반포천) |
복개 구간 |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 |
복개 년도 |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었음 |
1. 개요1. 개요 방배천(사당천)-方背川(舍堂川)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에서 발원하여 남태령역 뒤쪽 ~ 사당IC 옆쪽 ~ 사당역 옆쪽 ~ 천변 공영주차장 앞 ~ 이수역 옆쪽 ~ 방배4치안센터 옆쪽을 거쳐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에서 반포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6.5km 정도이다. 또한. 방배천과 사당천이라는 이름 외에도 승방천 등의 여러 명칭으로 불렸고, 특히 예전부터 사당천이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알려져 왔지만 사실상 하천의 전 구간을 관리하는 서초구청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오직 '방배천' 이라는 명칭만만 인정하며, 그 이유는 사당동은 서초구가 아닌 동작구 소속이어서 그렇게 정한다고 할 것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까지의 구간(약 550m 정도)과 기둥교회 건너편 ~ 서울전자고 입구의 옆쪽 구간(약 75m 정도)과 함께 이 하천의 주된 복개 구간을 차지하는 사당IC 옆쪽 ~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까지의 구간(약 5.38km 정도)이 복개되었고,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면서 현재처럼 복개되었다.
3. 역사3. 역사 현재 방배천은 1991년 복개된 이후부터 방배천로 라는 이름을 가진 복개도로가 복개된 하천 위를 지나고 있고, 이 도로를 비롯한 사당천의 복개 구간은 현재 서초구의 공영 주차장과 보행자 거리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1) 인근에 보드게임장(구 이수 서문클럽), 방배경찰서 등이 들어서 있다. 또한. 이수역 부근에서는 이 도로가 주변 지반에 비하여 현저히 낮기 때문에 하천이 있다는 것을 알기 쉽고, 사당역 부근에는 하천이 지나는 자리 바로 위에 공중화장실이 있으며, 서문여고 쪽 구간도 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2010년에는 지난 1998년부터 서초구청 광장에서 열렸던 벼룩시장이 사당천 복개도로로 자리를 옮겨서 개최하게 되었다. (2) 또한. 복원공사를 통해 녹지와 동시에 사당역 침수방지를 도모하려 하고 있었지만, 2015년 6월 기사 이후 소식이 없는 등으로 현재는 사실상 복원공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할 것이며, 2016년부터 타당성 조사 중이고 결과가 나오면 기본계획 마련 등 후속 작업을 착수할 계획으로 서울시는 사당역 일대 방재시설을 확충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아예 사당천을 복원해 빗물을 한강으로 흘려보내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또한. 2021년 09월 15일 오세훈 서울시장의 한강지천 르네상스에 방배천(사당천)이 포함되어 복원계획에 탄력을 받을 예정이고, 실제로 사당천이 복원되면 사당천 주변엔 도심 수변공간이 조성되고 이수고가차도 아래에 흐르는 반포천을 통해 한강까지 연결될 전망이다. 그 밖에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조선시대나 일제강점기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거의 없고, 그 이후의 역사도 자세히 밝혀진 부분을 지금도 찾기 어려운 상태이다. (3)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1탄 사라진 물길 기록을 위한 공모전이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한 과거, 현재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0.20(월)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탄: (1). 사라진 물길의 복원 방안 제시 공모대회 부문, (2).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 이용 후기 공모대회 부문과
3탄: (1).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대회 부문, (2). 프로젝트를 운영할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최합니다.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0.20(월)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탄: (1). 사라진 물길의 복원 방안 제시 공모대회 부문, (2).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 이용 후기 공모대회 부문과
3탄: (1).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대회 부문, (2). 프로젝트를 운영할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최합니다.
(1) 참고 기사: [전국 패트롤] 사당천 복개도로 보행자 중심 거리로 재탄생 外 : 네이버 뉴스 (naver.com)
(2) 관련 기사: 서울시, 사당천 복원 검토…사당역 침수 방지 대책 : 네이버 뉴스 (naver.com)
(3)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기록,역사,이야기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관련 백과인 사당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방배천 - 나무위키 (namu.wiki)에 게시된 내용을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6.5km |
발원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 발원지 |
하구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반포천) |
복개 구간 |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 |
복개 년도 |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었음 |
1. 개요1. 개요 방배천(사당천)-方背川(舍堂川)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에서 발원하여 남태령역 뒤쪽 ~ 사당IC 옆쪽 ~ 사당역 옆쪽 ~ 천변 공영주차장 앞 ~ 이수역 옆쪽 ~ 방배4치안센터 옆쪽을 거쳐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에서 반포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6.5km 정도이다. 또한. 방배천과 사당천이라는 이름 외에도 승방천 등의 여러 명칭으로 불렸고, 특히 예전부터 사당천이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알려져 왔지만 사실상 하천의 전 구간을 관리하는 서초구청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오직 '방배천' 이라는 명칭만만 인정하며, 그 이유는 사당동은 서초구가 아닌 동작구 소속이어서 그렇게 정한다고 할 것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까지의 구간(약 550m 정도)과 기둥교회 건너편 ~ 서울전자고 입구의 옆쪽 구간(약 75m 정도)과 함께 이 하천의 주된 복개 구간을 차지하는 사당IC 옆쪽 ~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까지의 구간(약 5.38km 정도)이 복개되었고,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면서 현재처럼 복개되었다.
3. 역사3. 역사 현재 방배천은 1991년 복개된 이후부터 방배천로 라는 이름을 가진 복개도로가 복개된 하천 위를 지나고 있고, 이 도로를 비롯한 사당천의 복개 구간은 현재 서초구의 공영 주차장과 보행자 거리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1) 인근에 보드게임장(구 이수 서문클럽), 방배경찰서 등이 들어서 있다. 또한. 이수역 부근에서는 이 도로가 주변 지반에 비하여 현저히 낮기 때문에 하천이 있다는 것을 알기 쉽고, 사당역 부근에는 하천이 지나는 자리 바로 위에 공중화장실이 있으며, 서문여고 쪽 구간도 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2010년에는 지난 1998년부터 서초구청 광장에서 열렸던 벼룩시장이 사당천 복개도로로 자리를 옮겨서 개최하게 되었다. (2) 또한. 복원공사를 통해 녹지와 동시에 사당역 침수방지를 도모하려 하고 있었지만, 2015년 6월 기사 이후 소식이 없는 등으로 현재는 사실상 복원공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할 것이며, 2016년부터 타당성 조사 중이고 결과가 나오면 기본계획 마련 등 후속 작업을 착수할 계획으로 서울시는 사당역 일대 방재시설을 확충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아예 사당천을 복원해 빗물을 한강으로 흘려보내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또한. 2021년 09월 15일 오세훈 서울시장의 한강지천 르네상스에 방배천(사당천)이 포함되어 복원계획에 탄력을 받을 예정이고, 실제로 사당천이 복원되면 사당천 주변엔 도심 수변공간이 조성되고 이수고가차도 아래에 흐르는 반포천을 통해 한강까지 연결될 전망이다. 그 밖에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조선시대나 일제강점기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거의 없고, 그 이후의 역사도 자세히 밝혀진 부분을 지금도 찾기 어려운 상태이다. (3)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1탄 사라진 물길 기록을 위한 공모전이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한 과거, 현재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0.20(월)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탄: (1). 사라진 물길의 복원 방안 제시 공모대회 부문, (2).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 이용 후기 공모대회 부문과
3탄: (1).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대회 부문, (2). 프로젝트를 운영할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최합니다.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0.20(월)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탄: (1). 사라진 물길의 복원 방안 제시 공모대회 부문, (2).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 이용 후기 공모대회 부문과
3탄: (1).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대회 부문, (2). 프로젝트를 운영할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최합니다.
(1) 참고 기사: [전국 패트롤] 사당천 복개도로 보행자 중심 거리로 재탄생 外 : 네이버 뉴스 (naver.com)
(2) 관련 기사: 서울시, 사당천 복원 검토…사당역 침수 방지 대책 : 네이버 뉴스 (naver.com)
(3)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기록,역사,이야기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관련 백과인 사당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방배천 - 나무위키 (namu.wiki)에 게시된 내용을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6.5km |
발원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 발원지 |
하구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반포천) |
복개 구간 |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 |
복개 년도 |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었음 |
1. 개요1. 개요 방배천(사당천)-方背川(舍堂川)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에서 발원하여 남태령역 뒤쪽 ~ 사당IC 옆쪽 ~ 사당역 옆쪽 ~ 천변 공영주차장 앞 ~ 이수역 옆쪽 ~ 방배4치안센터 옆쪽을 거쳐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에서 반포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6.5km 정도이다. 또한. 방배천과 사당천이라는 이름 외에도 승방천 등의 여러 명칭으로 불렸고, 특히 예전부터 사당천이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알려져 왔지만 사실상 하천의 전 구간을 관리하는 서초구청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오직 '방배천' 이라는 명칭만만 인정하며, 그 이유는 사당동은 서초구가 아닌 동작구 소속이어서 그렇게 정한다고 할 것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까지의 구간(약 550m 정도)과 기둥교회 건너편 ~ 서울전자고 입구의 옆쪽 구간(약 75m 정도)과 함께 이 하천의 주된 복개 구간을 차지하는 사당IC 옆쪽 ~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까지의 구간(약 5.38km 정도)이 복개되었고,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면서 현재처럼 복개되었다.
3. 역사3. 역사 현재 방배천은 1991년 복개된 이후부터 방배천로 라는 이름을 가진 복개도로가 복개된 하천 위를 지나고 있고, 이 도로를 비롯한 사당천의 복개 구간은 현재 서초구의 공영 주차장과 보행자 거리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1) 인근에 보드게임장(구 이수 서문클럽), 방배경찰서 등이 들어서 있다. 또한. 이수역 부근에서는 이 도로가 주변 지반에 비하여 현저히 낮기 때문에 하천이 있다는 것을 알기 쉽고, 사당역 부근에는 하천이 지나는 자리 바로 위에 공중화장실이 있으며, 서문여고 쪽 구간도 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2010년에는 지난 1998년부터 서초구청 광장에서 열렸던 벼룩시장이 사당천 복개도로로 자리를 옮겨서 개최하게 되었다. (2) 또한. 복원공사를 통해 녹지와 동시에 사당역 침수방지를 도모하려 하고 있었지만, 2015년 6월 기사 이후 소식이 없는 등으로 현재는 사실상 복원공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할 것이며, 2016년부터 타당성 조사 중이고 결과가 나오면 기본계획 마련 등 후속 작업을 착수할 계획으로 서울시는 사당역 일대 방재시설을 확충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아예 사당천을 복원해 빗물을 한강으로 흘려보내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또한. 2021년 09월 15일 오세훈 서울시장의 한강지천 르네상스에 방배천(사당천)이 포함되어 복원계획에 탄력을 받을 예정이고, 실제로 사당천이 복원되면 사당천 주변엔 도심 수변공간이 조성되고 이수고가차도 아래에 흐르는 반포천을 통해 한강까지 연결될 전망이다. 그 밖에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조선시대나 일제강점기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거의 없고, 그 이후의 역사도 자세히 밝혀진 부분을 지금도 찾기 어려운 상태이다. (3)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1탄 사라진 물길 기록을 위한 공모전이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한 과거, 현재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0.20(월)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탄: (1). 사라진 물길의 복원 방안 제시 공모대회 부문, (2).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 이용 후기 공모대회 부문과
3탄: (1).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대회 부문, (2). 프로젝트를 운영할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최합니다.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0.20(월)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탄: (1). 사라진 물길의 복원 방안 제시 공모대회 부문, (2).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 이용 후기 공모대회 부문과
3탄: (1).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대회 부문, (2). 프로젝트를 운영할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최합니다.
(1) 참고 기사: [전국 패트롤] 사당천 복개도로 보행자 중심 거리로 재탄생 外 : 네이버 뉴스 (naver.com)
(2) 관련 기사: 서울시, 사당천 복원 검토…사당역 침수 방지 대책 : 네이버 뉴스 (naver.com)
(3)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기록,역사,이야기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관련 백과인 사당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방배천 - 나무위키 (namu.wiki)에 게시된 내용을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주요 정보입니다.
길이 | 6.5km |
발원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 발원지 |
하구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반포천) |
복개 구간 |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 |
복개 년도 |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었음 |
1. 개요1. 개요 방배천(사당천)-方背川(舍堂川)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남태령 밑에서 발원하여 남태령역 뒤쪽 ~ 사당IC 옆쪽 ~ 사당역 옆쪽 ~ 천변 공영주차장 앞 ~ 이수역 옆쪽 ~ 방배4치안센터 옆쪽을 거쳐 서초구 방배본동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에서 반포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길이는 약 6.5km 정도이다. 또한. 방배천과 사당천이라는 이름 외에도 승방천 등의 여러 명칭으로 불렸고, 특히 예전부터 사당천이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알려져 왔지만 사실상 하천의 전 구간을 관리하는 서초구청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오직 '방배천' 이라는 명칭만만 인정하며, 그 이유는 사당동은 서초구가 아닌 동작구 소속이어서 그렇게 정한다고 할 것이다.
2. 복개에 대한 정보2. 복개에 대한 정보 현재 남태령 밑 발원지 ~ 남태령역 뒤쪽까지의 구간(약 550m 정도)과 기둥교회 건너편 ~ 서울전자고 입구의 옆쪽 구간(약 75m 정도)과 함께 이 하천의 주된 복개 구간을 차지하는 사당IC 옆쪽 ~ 이수교차로 옆쪽 합수점까지의 구간(약 5.38km 정도)이 복개되었고, 1982년 ~ 1991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면서 현재처럼 복개되었다.
3. 역사3. 역사 현재 방배천은 1991년 복개된 이후부터 방배천로 라는 이름을 가진 복개도로가 복개된 하천 위를 지나고 있고, 이 도로를 비롯한 사당천의 복개 구간은 현재 서초구의 공영 주차장과 보행자 거리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1) 인근에 보드게임장(구 이수 서문클럽), 방배경찰서 등이 들어서 있다. 또한. 이수역 부근에서는 이 도로가 주변 지반에 비하여 현저히 낮기 때문에 하천이 있다는 것을 알기 쉽고, 사당역 부근에는 하천이 지나는 자리 바로 위에 공중화장실이 있으며, 서문여고 쪽 구간도 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2010년에는 지난 1998년부터 서초구청 광장에서 열렸던 벼룩시장이 사당천 복개도로로 자리를 옮겨서 개최하게 되었다. (2) 또한. 복원공사를 통해 녹지와 동시에 사당역 침수방지를 도모하려 하고 있었지만, 2015년 6월 기사 이후 소식이 없는 등으로 현재는 사실상 복원공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할 것이며, 2016년부터 타당성 조사 중이고 결과가 나오면 기본계획 마련 등 후속 작업을 착수할 계획으로 서울시는 사당역 일대 방재시설을 확충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아예 사당천을 복원해 빗물을 한강으로 흘려보내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또한. 2021년 09월 15일 오세훈 서울시장의 한강지천 르네상스에 방배천(사당천)이 포함되어 복원계획에 탄력을 받을 예정이고, 실제로 사당천이 복원되면 사당천 주변엔 도심 수변공간이 조성되고 이수고가차도 아래에 흐르는 반포천을 통해 한강까지 연결될 전망이다. 그 밖에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조선시대나 일제강점기에 대한 역사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거의 없고, 그 이후의 역사도 자세히 밝혀진 부분을 지금도 찾기 어려운 상태이다. (3)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1탄 사라진 물길 기록을 위한 공모전이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한 과거, 현재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최초의 복개하천을 비롯한 사라진 물길을 주제로 하는 공모전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복개하천, 사라진 못, 사라진 호수, 사라진 습지와 같은 사라진 물길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록하거나 이에 대한 참신한 복원방안을 기다립니다. 접수 기간은 2021.9.17(금) 12:00 ~ 10.20(월) 24:00 까지 이며, 대회는 1탄: (1). 사라진 물길의 경로 – 그 물길에 담겨있는 기록, 이야기 공모 부문, (2). 이미 기록된 사라진 물길에 대한 또 다른 내용 공모 부문과 경진대회 개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경진대회 페이지(바로 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탄: (1). 사라진 물길의 복원 방안 제시 공모대회 부문, (2). 사라진 물길 찾기 지도 서비스 이용 후기 공모대회 부문과
3탄: (1). 사라진 물흐름을 찾아서 앱 만들기 대회 부문, (2). 프로젝트를 운영할 동반운영진 특별 지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최합니다.
○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지금 상황에서의 물길 복원의 가능성과 물길을 복원하는 것에 대한 이유,기대효과,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방배천(사당천)에 대한 관련 역사나 자료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얼마 없어 어떠한 방향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지를 구체적으로 특정짓기가 어려우므로 복원 방식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를 제보하기 바랍니다. 현재 '사라진 물길을 담다' 경진대회 2탄-사라진 물길 복원 방안 제시 및 서비스 이용후기 공모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므로, 이 곳에 대하여 나만의 참신한 복원 방안이 있다면 경진대회를 통하여 이를 제안해주시기 바랍니다.